“삶의 기쁨”이라는 낡은 수사를 싱싱한 실체로 채우는
아픔의 환환 맛, ‘사는 기쁨’
‘‘벌레 문 자국같이 조그맣고 가려운 이 사는 기쁨”
황동규 시인의 끊이지 않는 시를 향한 열정이 열다섯번째 시집 『사는 기쁨』으로 다시 한 번 불씨를 지핀다. 이번 시집은 병들고 아픈 몸으로 짧기만 한 가을을 지나며, 다 쓰러진 소나무가 상처에서 새싹을 틔우듯, “벗어나려다 벗어나려다 못 벗어난” 사는 기쁨에 매여 있는 인생의 황혼을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하지만 시집의 전체 분위기는 곳곳에서 터지는 상상력 넘치는 언어들과 상승하는 정신으로 오히려 삶의 생기가 가득하다. 물리치료를 받고 돌아오는 길에 “장기 기증”을 의뢰받는 전화 통화에 “아직 상상력 난폭하게 굴리는 고물차 다된 뇌나 건질 만할까”라고 대응하고, 산책길에서 본 쓰러져가는 소나무가 틔워낸 새싹을 보고, “이렇게도 모질게 살아야 하나?”라고 묻지만, 그것은 어떤 회한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살고 싶어 그런 거 아냐./병들어 누운 몸, 살던 곳 빼끔 내다보기지’”라고 표현함으로써 꺼져가는 삶도 생명의 진행 과정에 있음을, 살아 있는 한 생명이 다 하는 날까지 “상처에 아린 살들 촘촘히 짚어가며 하나씩 꿰매다 확 터지곤 하던/저 아픔의 환한 맛”이 주는 ‘통증’을 달게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삶의 숭고를 표현한다.
노년의 나이에도 이처럼 뛰어난 발상을 보여주는 시, 싱싱하게 살아 있는 비유적 이미지를 구사한다는 사실은 인간의 정신에 대한 무섭고 즐거운 존경을 불러일으킨다. 그와 함께 황동규의 시는 어디까지 상승할 것인가란 의문을 떨칠 수 없게 만든다. 그의 육체는 착지점을 찾는 곡사포의 포탄처럼 땅을 향해 하강하고 있을지 모르나 그의 정신은 하강곡선을 망각한 채 여전히 상승의 포물선을 그리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시는 정점이 곧 종점이 될 것인가! 이번 시집은 이 같은 의문으로부터 필자 역시 벗어날 수 없게 만든다. 그렇지만 정점을 종점으로 삼는 시인이 있다면 그것은 시를 사랑하는 우리 모두에게 무섭고도 즐거운 모범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_홍정선(문학평론가)
오늘은 오늘의 기쁨이 있어, “무언가 주고받으니 그냥 좋은 거다”
“이제 뭘 하지? 산다는 게 도대체 뭐람”(「뭘 하지?」)이라고 되묻게 되는 정년 이후의 삶은 독서와 산책, 친구들과의 단출한 여행 등 소소한 일상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이렇게 허락된 노년의 시간들은 삶에 숨겨진 신비를 새롭게 발견하게 한다. 하루는 영하의 기온 탓에 베란다 화분을 데워주려 거실 문을 열어 젖혔다가 거실 바닥에 새겨진 난초 무늬를 보고 한 폭의 묵화가 그려진 이불을 상상한다. 20년 간 산 아파트 거실에서 처음 만난 그 묵화에 홀린 시인은 조용히 그 묵화 이불 속으로 들어가 누워 보고 “느낌과 상관없이 ‘따스하다’고 속삭인다”(「묵화(墨畵) 이불」). 그렇게 만나는 허전하면서도 따스한 감각들은 산책길마다 담아오는 조그만 새소리들이나 겨울날 망향 휴게소에서는 눈 나리는 날 자신의 앞에서 휘청 넘어지는 여인의 머리 위에 내려앉은 눈송이들과 눈인사 나누기 등과 같이 날마다 새로운 체험하게 하는 설레는 순간들이다. 이렇게도 새로운 삶이 ‘재미있어 죽겠다’는 시인 일과를 훔쳐보노라면, 젊은 사람이 보기에도 샘이 날 정도다. 하지만 그러한 시간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하루’이기 때문에 공감할 수 있다. 시간의 더께가 쌓여 무뎌지고 고요하기만 한 세상, 세월이 만든 담백한 풍경 속에서도 시인은 생의 경이를 발견하는 기쁨으로 이토록 신이 나 있다.
깊은 안개 속을 걸으면
무언가 앞서 가는 게 없어 좋지.
발 내디딜 때
생각이나 생각의 부스러기 같은 게 밟히지 않는다.
〔……〕
다 산 삶도 잠시 더 걸치고 가보자. _「안개의 끝」 부분
“아직 술맛과 시(詩)맛이 남아 있으니”
귀는 쫑긋하지 않고 눈은 반짝이지 않는다. 몸이 스스로 알아서 에너지를 아껴 쓰는 늙고 아픈 몸이지만, 산책과 여행으로 가득한 시인의 일과는 지나온 눈꽃 “두고 갈 때 가더라도 한 번 더 보고 가자”(「눈꽃」)고 마음먹거나 “기쁨은 기쁨, 슬픔은 슬픔, 분노는 분노, 그 부스러기들이/아직 들어 있는 몸이 어딘데”(「맨가을 저녁」)라며 셔츠 윗단추를 풀어 세상의 기운을 느끼기에 바쁘다. “용서 받은 것은 어둡고, 안 받은 것은 더 어”(「어둡고 더 어두운」)두울 수밖에 없는 생이지만 그러한 생이 주는 고통과 모욕에도 시인이 발견하는 이 사는 기쁨들은 “몸이여, 그대 처분에 나를 맡겨야 하지 않겠나”(「이 저녁에」)라고 읊조리게 하며 “미래가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인”(「봄비에」) 가운데서도 꼭 불타는 캠프 파이어 같은 생이 아니어도 좋은, “이 세상에서 나갈 때/아직 술맛과 시(詩)맛이 남아 있는 곳에 혀나 간 신장 같은 걸/슬쩍 두고 내리지 뭐.//땅기는 등어리는 등에 붙이고 나가더라도”(「장기(臟器) 기증」)라고 말하는 시인의 하루는 탐욕 없이도 생의 충만함으로 가득하다.
‘법사께서는 연로하신데 어디로 가십니까?’
‘죽으러 가는 길입니다. _「가는 곳 물으신다면」 부분
미래에도 이 거리에선
무언가가 사람의 발걸음 멈추게 할 것이다.
내가 없는 미래가 갑자기 그리워지려 한다._「브로드웨이 걷기」 부분
■ 작품 속으로
하늘 구름이 온통 동네에 내려와 있으니
말을 걸지 않아도 말이 되는군.
차에 올라 시동 걸고도 한참 동안 밖을 내다본다.
꽃들의 생애가 좀 짧으면 어때?
달포 뒤쯤 이곳을 다시 지날 때
이 꽃구름들 낡은 귀신들처럼 그냥 허옇게 매달려 있다면……
꽃도 황홀도 때맞춰 피고 지는 거다. _「살구꽃과 한때」 부분
그 길에 한참 못 미치는
아이들의 웃음소리 간간이 들리는 곳에서 말을 더듬는다.
벗어나려다 벗어나려다 못 벗어난
벌레 문 자국같이 조그많고 가려운 이 사는 기쁨 용서하시게 _「사는 기쁨」 부분
삶이 뭐 별거냐?
몸 헐거워져 흥이 죄 빠져나가기 전
사방에 색채들 제 때깔로 타고 있을 때
한 팔 들고 한 팔은 벌리고 근육에 리듬을 주어
춤을 일궈낼 수 있다면! _「북한강가에서」 부분
문 앞에서 걸음을 멈추었다.
젊은 남녀가 수화(手話)를 하고 있었다.
남자는 턱 높이까지 올린 한 손 두 손 쉬지 않고 움직이고
여자는 두 손 마주 잡고 열심히 쳐다보고 있었다.
다시 발길 옮기려다, 아 여자 눈에 불빛이 담겨 있구나!
여자가 울고 있었다.
참을 수 없이 기쁜 표정 담긴 얼굴이
손 없이 수화하듯 울고 있었다.
나는 절름을 잊고 그들을 지나쳤어. _「발 없이 걷듯」 부분
섬인 것 빼고는 달리 무엇이 아닌
섬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벗을 것 다 벗은 나무 몇이
역광 속에 서 있을 뿐
모래톱마저 벗겨진 섬들
그 담백함이 몸을 홀가분하게 하는 곳으로
사람인 것 빼고는 달리 무엇이 아닌
사람들이 사는
시간을 잡아당겨보려는
기다림 같은 것도 없는 곳 _「서방 정토」 부분
■ 시인의 말
죽어서도 꿈꾸고 싶다.
■ 시인의 산문
시를 쓰다가 시가 나를 쓰고 있다는 느낌을 자주 받곤 한다. 한밤중에 깨어 볼펜을 들 때가 특히 그렇다.
시를 좇아가다 보니 바야흐로 삶의 가을이다. 주위에 자신의 때깔로 단풍 들거나 들고 있는 사람들이 아름답다. 가득 찬 잔만큼 아직 남은 잔이 마음을 황홀케 한다. 벌레 문 자국같이 조그맣고 가려운 이 ‘사는 기쁨’ 용서하시게.
시인의 말
제1부
이별 없는 시대/마른 국화 몇 잎/그리움의 끄트머리는 부교(浮橋)이니/하루살이/뭘 하지?/가을 저녁 고속도로 휴게소에서/겨울날 망양 휴게소에서/묵화(墨畵) 이불/혼/시네마 천국/영원은 어디?/살구꽃과 한때/물소리/사는 기쁨
제2부
토막잠/20년 후/사자산(獅子山) 일지/북한강가에서/버려진 소금밭에서/겨울을 향하여/발 없이 걷듯/두 달 반 만의 산책/몰기교(沒技巧)/소년행(行)/소년의 끝/이 저녁에/어둡고 더 어두운/니나 시몬/무중력을 향하여/그게 뭔데/네가 없는 삶/서방 정토/가는 곳 물으신다면/브로드웨이 걷기
제3부
허공에 기대게!/장기(臟器) 기증/뒷북/첫눈/허공의 색/눈꽃/봄비에/영도(零度)의 봄/봄 나이테/밤꽃 피는 고성(固城)/염소를 찾아서/산돌림/내비게이터 끈 여행/이 환장하게 환한 가을날/세상 뜰 때/돌담길/안개의 끝/정선 단풍/맨가을 저녁/살고 싶어 그런 거 아냐/아픔의 맛
해설|몸과 더불어 사는 기쁨·홍정선
[연합뉴스] 황동규 새 시집… 노년의 비밀스런 이야기
[중앙일보] 망막 뿌예지는 생의 하강서 낚아채다, 참 멋진 세상
[매일경제] “남은 잔에 마음도 황홀”
[국민일보] 노년의 시간에 찾아낸 초록색 에메랄드… 황동규 시인의 열다섯 번째 시집 ‘사는 기쁨’
[문화일보] “이번 시집도 끝 아닌 듯… 시가 나를 쓰는 느낌이야”
[한겨레] 죽음의 시어 틈새로 비친 삶의 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