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곁에서 그 이름을 불러주고 싶었다”
일상적 풍경이 새겨진 투명하고 단정한 문장들
말의 무력함을 이해하는 작가 김유진의 두번째 소설집
2004년 문학동네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한 후 그로테스크하면서도 아름답고 단단한 문장으로 안정된 소설 세계를 구축해온 작가 김유진이 두번째 소설집 『여름』을 출간했다. 호흡을 고르듯 신중히 언어를 조탁해내는 군더더기 없는 문장들을 마주하는 독자라면 누구나 김유진이 “목소리의 무력함, 말하기의 무력함, 소설이란 장르 자체의 무력함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그리고 그것을 넘어선 고결한 믿음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여름』에는 2011년 제2회 젊은작가상을 수상한 단편 「여름」과 2010년 6월 <웹진 문지> ‘이달의 소설’에 선정된 「희미한 빛」을 포함해 총 여덟 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첫 소설집 『늑대의 문장』과 장편소설 『숨은 밤』에서 두드러졌던 속도감과 짙은 색감은, 『여름』에 이르러 차분한 빛깔로 정돈된다. “누구도 본 적 없는 압도적인 풍경을 그리고 싶었다”던 그녀는 이제 “단번에 알아채기 어려울 정도로 옅은 것, 미묘한 것, 그러나 이곳에 있는” 가능한 한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들을 응시한다. 행간에 좀더 깊은 의미를 품게 된 김유진의 문장을 읽을 때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번 소설집에서 그려내는 것은 명확하고 또렷한 이미지‘들’이 아니라 언뜻 모호해 보이는 풍경 한 장면이다.
한없이 조용하고 느리고 투명한 채로 어쩐지 슬프다. 김유진은 단호한 미문으로 모호한 정서를 실어 나른다. 그녀의 무심한 인물들이 후박나무의 빽빽한 잎 사이로 쪼개지는 햇빛에 대해 말할 때, 마른 땅 위로 피어오르는 아지랑이를 발견할 때, 한여름의 살구나무와 농익은 무화과를 기억해낼 때, 그들의 마음속에는 각양각색의 감정들이 엉키지만 김유진의 단단한 문장 속에서 감정의 채도는 풍경의 명도로 뒤바뀐다.
_조연정(문학평론가)
문자로 환원될 수 없는 미묘한 인간의 마음을, 풍경을 통해 바라보게 하는 복화술사
풍경을 묘사할 때 김유진은 그저 거기에 있는 것을 매만진다. 유난히 뜨겁거나 차가운 감정 같은 건 섞여 있지 않아서, 화자의 상황을 짐작할 수 없다. 이야기가 진행되는 도중 곳곳에 삽입되는 장면 묘사는 때로 삽화 같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페이지를 다 넘기고 난 뒤에 남는 잔상들은 또렷한 한 풍경으로 소설 전반과 묘하게 화합한다.
사방에서 쏟아진 미적지근한 햇빛이 바닥으로 뚝뚝 떨어졌다가 이내 스며들었다. 수명을 다한 빛은 무거웠고, 눅눅했다. 빛은, 찌들어 보였고, 먼지로 가득 찬 것만 같았다. 목구멍이 간질거렸다. 열차는 다리를 건넜다. 모호한 색의 강물과 멀리, 오물처럼 물 위에 둥둥 떠밀려오는 노을, 구름 너머 V자 모양으로 일렁이는 철새 무리가 있었다. _「희미한 빛」, p. 42
얼마 전 남자 친구와 헤어진 데다 오래전 잠시 만났던 남자 친구의 집에 얹혀사는 실업자인 「희미한 빛」의 주인공에게, 빛은 미적지근하고 무겁고 눅눅하며 먼지로 찌든 오물 같다. 실업 급여를 받으러 고용 센터에 가거나 동거인의 작업을 돕는 등 무미건조한 일상을 지속하는 주인공은 모든 것을 하찮게 느낀다. 풍경과 풍경 사이, “지리멸렬했다”는 문장이야말로 주인공의 심리를 단적으로 나타낸다.
“고백보다는 관찰, 진술보다는 묘사의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김유진 소설의 특징”은 김유진의 인물들이 ‘말’에 민감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말’에 민감한 사람은 위태로운 말에 의존할 수 없기에 말수가 적어질 수밖에 없”(조연정)으므로, 스스로 절제하여 억눌린 감정이 “이미지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환기”(강지희)되는 것이다.
대개 일인칭 화자나 화자에게 호의를 품고 있는 관찰자 입장에서 서술되는 등장인물들은 매우 평온한 듯 보인다. 하지만 한 발 다가가 들여다보면 모두 관계를 지속하는 데 문제를 품고 있다. 어머니와 아들이든 남자와 여자든, 이미 헤어졌거나 결별 위기에 처해 있는 그들은 결국 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결론에 다다른 상태다. 이해할 수 없다면 표현할 필요가 있을까. 『여름』 속 인물들은 남녀노소에 관계 없이 무성(無性)적이고 식물적이다. 어쩌면 그들의 초연함은 스스로를 풍경화하려는 인물들의 의지인 듯싶다.
언어, 그것은 관계의 시작이자 끝
「A」와 「눈은 춤춘다」의 아이들에게는 자신만의 언어가 있다. 기존의 언어를 거부하던 아이들은 관계를 시작하며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언어를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서로를 견딜 수 없는, 헤어짐이 임박한 커플(「여름」 「물보라」)은 서로의 말에 민감해지고 갑작스레 껄끄러워진다. 관계를 열었다가 닫는 것은 언어가 생성되었다 소멸하는 과정과 닮아 있다.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 배웠던 말은 결국 서로 이해할 수 없음을 깨달았을 때 의미를 잃고 빛이 바랜다.
마음이 마음에 닿지 못한 채 ‘우리’를 위한 말이 기어이 무력해지면 입을 다물고 가만히 마음과 세상의 풍경을 응시할 시간이 필요하다. 언어의 생성과 소멸을 겪은 후에 다시 쓰여진 『여름』 속 김유진의 문장들은 그런 의도적 실어(失語)를 앓았기에 새로 배운 말처럼 정갈하다.
김유진이 말하고 싶은 것은 삶 그 자체다. 이해할 수 없음을 인정하는 법,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해 체념하는 법, 그러나 놓거나 잊지 못한다면 감정을 담지 않고 바깥에다 대고 말하는 법. 삶은 이 방법들을 배우는 시간이다. 긍정도 부정도 없이, “사는 것이란 쉽게 경계를 나눌 수도 없고 때때로 지루하며, 대부분 소박한 채로 흘러간다는, 더 이상은 외면할 수도 미룰 수도 없는 사실을, 그것을 노래할 수 있다면.” 김유진은 『여름』에서 그것으로 족하다고 말하고 있다.
본문 중에서
그는 자신을 이해해주는 사람은 나뿐이라고 덧붙였다. 나는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었으나 그럴 수 없었다. 그는 외톨이였다. 그를 이해하는 사람은 자신 말고는 세상 어디에도 없었다._「희미한 빛」, p.56
Y는 체리나무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시멘트는 체리나무 그늘에 작은 봉분 모양으로 단단하게 굳어 있었다. 봉우리 부분이 피로 검게 물들었다. 바람이 불었다. 올여름 들어 가장 시원한 바람이었다. 완벽히 익은 체리는 제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쉼 없이 땅으로 떨어졌다. 떨어진 체리들이 나무 주위에 쌓여, 거대한 화관을 만들고 있었다. Y는 그 화관 안으로 발을 디뎠다. 검은빛에 가까운 진녹색의 잎사귀와 한여름의 햇빛을 받으며 뒤늦게 여물어가는 어린 열매가 보였다. Y는 힘껏 뛰어, 길게 늘어진 체리나무 가지를 꺾어 보였다._「여름」, p. 75
나의 문제는, 문제를 말하지 않는 것,이라고 K는 평했다.
[……] 말하기 어려운 네 심정은 이해하지만. K는 말버릇처럼 그렇게 말했다. 그러나 K가 진심으로 나를 이해한다면, 그토록 다그치는 일도 없어야 했다. K는 거짓말을 하고 있었다. K의 문제는, 지나치게 많은 말들을 내뱉는 것이라고 나는 줄곧 생각해왔다._「우기」, p. 104, 107
세계는 동일한 색을 얻었다. 그것을 색을 잃었다,고 표현해도 의미가 다르지 않으리라._「눈은 춤춘다」, p. 142
그러나 나는 세상의 많은 일들이 모호한 채로 잊힌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_「A」, p. 174
L은 물었다. 취직하니까 어때? 그 목소리가 지나치게 상냥해,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았다. 나는 발끝을 이용해 바닥에 널브러진 우산대를 들어 올린 후 손으로 집었다. 차 안에서 내내 짓밟힌 우산은 축축하고 더러웠다. 응, 점점 인간이 되어가는 것 같아._「물보라」, p. 200
나는 오랫동안 한 사람의 죽음에 대해 생각했다._「나뭇잎 아래, 물고기의 뼈」, p. 203
작가의 말
작품집을 묶을 때면, 한 시절의 마디를 지나는 기분이 든다. 지난 3년간의 기록이다. 그동안 이십대에서 완연한 삼십대로 접어들었다. 조바심이 난다.
소설을 쓰는 동안 주변 사람들의 많은 도움과 애정이 있었다. 진 빚이 많음을, 갚을 기회가 아직 있음을 감사히 여긴다. 마지막으로 책을 내기까지 수고를 아끼지 않은 문학과지성사에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2012년 3월
김유진
바다 아래서, Tenuto
희미한 빛
여름
우기
눈은 춤춘다
A
물보라
나뭇잎 아래, 물고기의 뼈
해설 마음의 풍경, 풍경의 마음_조연정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