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폐허의 목소리로 남아 이야기 뒤에 이야기를 부르고 있다.”
김태용 두번째 소설집―이야기의 붕괴, 그 이후의 이야기를 시작하다
“언어에 반하는 언어” “서사에 반하는 서사”라는 평가로 한국소설의 열린 가능성을 펼친 소설가 김태용의 두번째 소설집 『포주 이야기』가 출간됐다.
보통 이야기를 말할 때는 두 가지 중요한 인식이 개입한다. 하나의 이야기는 명확한 경계를 갖는다는 것, 그리고 그 경계의 내부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통일성 있는 전체를 이룬다는 것. 김태용은 이번 소설집에서도 이런 일반적인 소설의 정의를 부정하고 무너뜨리면서 경계의 소멸과 전체의 부정을 말한다.
이야기는 자아와 분리될 수 없다. 일정한 경계 안에서 자신을 유지하는 자아는 마찬가지로 고유한 경계 안에 갇힌 통일적 이야기를 낳기 마련이다. 하지만 자기 자신을 넘어서고자 하는 자아, 자기 자신의 경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자아에게 이야기는 자신에게서 나와서 경계를 잃고 타자와 섞여드는 어떤 것이 되어야 한다. 김태용이 완결된 전체보다도 시작도 끝도 없이 무한을 환기하는 파편을 꿈꾸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김태용의 많은 소설들은 글쓰기 자체에 관한 것들이다. 새 소설집의 표제작 「포주 이야기」에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화자 포주는 ‘나는 포주였다’로 시작하는 유서를 쓰면서 다음 문장이 떠오르지 않아 괴로워한다. 이 무능한 화자는 곧 작가의 분신이다. 전직 포주인 화자는 무의탁 독거노인을 돌보는 봉사활동을 나온 대학생에게서 처음 한글을 배운 뒤로 내적 분열을 일으킨다. 글을 알기 전까지는 포주로 살아온 삶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하려는 욕망도 없던 화자는 “글을 쓸수록 나의 죄는 점점 부풀려지고 가중되어가는 것만 같다. 글 속에 은폐된 더 고약한 죄의 이력이 나를 괴롭힌다. 이상하게도 멈출 수가 없다. 기억을 불러내어 글을 쓸수록 기억에서 멀어지는 것만 같다”고 고백하는데, 글에 대한 이러한 불신은 글에 대해 품은 작가 자신의 불신이기도 하다.
이야기는 삶을 반영하고, 삶은 이야기에 의해서 반영된다고 할 때, 이야기는 삶 위에 서서 조감(전지적으로)하려고 한다. 하지만 김태용은 “바닥 아래로 파고드는 이야기도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이야기를 바닥 아래로 끌어내린다. 이야기에 대한 작가의 이런 반골적 태도는 이야기를 신전에서 끌어내려 세상의 다른 사물들과 접촉하며 섞여드는 이 세상의 여러 사물들 가운데 일부로 만든다. 이것이 문학 이후의 문학을 계승하는 작가 김태용의 면모인 것이다.
“암울한 묵시록적 비전 속에서도 작가는 이야기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 그는 단순히 해체되고 붕괴되는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해체와 붕괴를 인식하는 자, 해체되고 붕괴된 자아의 자의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붕괴 이후의 목소리로 남아 붕괴와 폐허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김태용은 소설 뒤에 소설이 있다 문학 뒤에 문학이 있다고 말한다. 물론 문학 뒤에 문학은 더 이상 세계를 주름잡는 문학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이 도시의 어두운 바닥에 쏟아져 스며들어 가는 문학의 배설물, 문학의 유해로서의 문학일 것이다.” _김태환(문학평론가)
어떤 소설을 기대한들 그 어떤 소설도 만나지 못 할 것이다!
이 소설집에서는 죽음을 눈앞에 둔, 각성 상태인지 환각 상태인지 모를, 환자인지 이미 시체인지 모를 사람들이 여덟 편의 작품을 이끈다. 이 사람들은 한정된 공간, 곧 침상 위나 혹은 자신의 머릿속에서만 말을 이어간다. 말이 거기에 있을 때 이미 소설은 필요 없다는 듯, 기존 소설은 이미 종언을 고했다는 듯. 소설은 없고 ‘소설적인 문장이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문장만이 남아 중얼거릴 뿐이다. 술술 읽히는 주절거림, 턱턱 걸리는 문장들, 불쑥 솟아오르는 이미지들뿐인 이 공간 안에서 우리는 어떤 소설적 체험을 할 수 있을까. ‘소설’을 기대하는 독자들은 어쩌면 이 소설집에서 어떤 소설도 만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소설이다―가장 소설적인 문장으로 이루어진 소설!
그러나 이것은 분명 소설이다. 이미지와 말의 체험, 오직 무언가를 말하려다 말하지 못한 한 사람의 중얼거림을 들은 것 같은 몽롱함. 이 책을 다 읽고 덮었을 때의 느낌이 그럴지 모른다. 지면 위로 불쑥 솟아 올라오는 물웅덩이 이미지나, 쓸개 담석이 이 사이에서 가루를 날리며 씹히고 있는 듯한 감각적 체험만이 생생하게 남아 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런 이미지 안에서 몽롱하게 있다 보면, 전쟁 중에 부모를 잃고 포주로 길러진 한 소년, 제대를 앞두고 부대로 복귀하지 못하고 숲을 헤매는 군인, 입양돼 미국에서 자란 뒤 찾아온 아들을 병상에서 맞는 노인 등 민족사와 가족사가 얽힌 개별 인물들, 인생들, 이야기들 면면을 우리가 이미 다 알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작가는 어떻게 말하지 않고 말할 수 있었을까. 이러한 소설적 장치는 글을 부정하는 글, 이야기를 부정하는 이야기를 하겠노라 선포하는 작가만의 그러나 여전히 ‘문학을 떠나지 않은 채’ 소설을 생산하는 한 작가의 대안적 소설, 새로운 소설을 발견하게 한다.
한국소설의 ‘스페셜리티’ 김태용을 내보이다
2005년에 등단해 2008년 한국일보문학상을 받고, 2012년 웹진문지문학상을 받게 된 등단 7년 차 작가 김태용은 독자들에게 얼마나 친숙할까. 말장난 같은 엉뚱한 말들로 엉뚱하지 않아 보이는 이야기들을 비틀어놓던 김태용은 두번째 소설집에서도 “기억을 불러내어 글을 쓸수록 기억에서 멀어지는 것만 같다(「포주 이야기」)” “누군가를 묘사하려고 들면 누군가에서 점점 멀어지기 마련이다(「허리」)” “너의 아버지에게서 주입된 기억과 기억의 구멍 사이에 걸쳐 있는 머리도 없고 허리도 없는 이야기인지 모르겠다(「머리 없이 허리 없이」)” 같은 실체 없는 말들을 늘어놓으며 ‘소설’ 독자들의 기대를 무너뜨린다. 그의 문장들은 어떤 서사를 지향하지 않고 오직 말들로서 작가의 자의식을 대변한다.
그런데 한국 문단에서 이렇게 문학이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시달리며 자기가 운용하는 매체에 대한 자각이 곤두선 작가도 없을 것이다. 온갖 역설과 고도로 계산된 횡설수설. 해체된 주체가 겪고 있는 근본적인 무기력함을 유쾌하고 흥미롭게 소설적으로 다루어내는 이 작가는 마비 환자가 침상에서 ‘혼잣말’로 중얼대는 방식으로 발화하지 않고도 모든 숨겨진 서사를 드러내는 발화 이상의 소통 효과를 거두고 있다.
문학에 고유한 전복성과 비판 정신을 실천하는 김태용의 이러한 해체적 구성 작업과 그 안에서 드러나는 이런 자의식이야 말로 예술가로서 최선의 존재 증명이 아니겠는가. 이번 소설집은 작가의 장기가 극대화된 완성도 높은 소설 실험으로 남을 것이다.
본문 중에서
축축하고 허름한 방에서 비릿한 추억의 냄새를 맡아가며 천천히 죽어가는 게 마지막 남은 희망이던 시절이 있었다. 처음부터 지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존재라는 단어조차 내 삶에 존재하지 않은 채, 언어의 백치 상태 그대로 침묵 속에서 딱딱한 주검이 될 때까지 기다렸어야 했다. 글을 배우지 않았다면 나는 포주였다,라고 시작하는 이따위 글을 쓸 생각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포주 이야기」 p. 16
어느 날부터 어머니는 욕실 변기 대신 요강을 사용하고 있었다. 변기에 일을 보고 내리지 않는 것보단 차라리 요강이 나은지도 몰랐다. 요강에 든 것을 변기 안에 버리고 바지를 내렸다. 아랫비에 힘을 주며 그는 어머니의 배설물과 자신의 배설물이 섞이는 것에 이상한 쾌감을 느꼈다.
「물의 무덤」 pp.37~38
어디로 가도 결과는 마찬가지일 거라는 것을 알면서도 다시금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자신에게 명령을 하면서 바닥에 무릎을 꿇고 쓰러지고 말았다. 내가 가야 할 방향을 일러주는 척하며 어딘가로 기울고 있는 태양이 아무리 해도 여기서 빠져나갈 수 없을 것이다,라고 예언하듯 마지막 에너지를 힘겹게 소진시키고 있었다. 저주를 퍼붓는 태양 아래 널브러진 채 한 손으로 쓸개가 있던 자리를 더듬으며 다른 한 손으로는 주머니를 뒤졌다. 용기 안의 돌덩이를 꺼냈다. 이것이 지상의 유일한 너의 양식이다,라고 되뇌며 나는 돌덩이를 씹기 시작했다.
「쓸개」 p. 90
여자의 얼굴이 물의 갈퀴에 뜯겨져 나갔다. 여자의 목이 한없이 늘어났다. 심줄이 터질 것 같았다. 여자의 금빛 목걸이가 반짝였다. 그는 여자의 어깨를 밀쳐내고 허리를 감싸고 있는 여자의 팔을 뒤로 꺽어 물러섰다. 하체를 빼자 날카로운 칼에 성기가 잘려나가는 듯한 통증이 느껴졌다. 반쯤 벗겨진 바지를 그대로 걸친 채 그는 뒤로 자빠졌다. 여자의 상체가 물에 잠겼다 웅덩이 속으로 밀려 들어갔다.
「웅덩이」 p. 117
“네 어미는 머리가 빠개지고, 허리가 끊어졌어. 잠들기 전 아버지가 말했다. 머리가 빠개지고 허리가 끊어졌어. 아버지가 불러준 유일한 자장가였다.”
「머리 없이 허리 없이」 p. 152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손에 잡히는 대로 환의를 꺼내 젖은 환의 위에 껴입었다. 환의 속에 환의,라고 중얼거렸던 것 같다. 하나만 더, 하나만 더 하면서 입었다. 아홉 개의 환의를 입자 더 들어가지 않았다. 부풀어 오른 환의 덩어리가 되어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었다.
「허리」 p. 184
머릿속으로, 어느 쪽 머리인지 모르겠지만, 나의 반쪼가리 인생을 저주하며 중얼거릴 때 머리가 쪼개지면서 혀가 으깨지면서 내 머리에서 입에서 어쩌면 엉덩이 사이에서 같은 소리가 동시에 새어 나왔다. 물론이다. 끄세쮸. 끄세쮸. 이제 와서 그 소리를 바꿀 수야 있겠는가. 이것이 나의 마지막 목소리다.
「머리」 p. 210
도시가 붕괴되었고 당신도 붕괴되었다. 붕괴 뒤에 붕괴가 있었다. 나 역시 도시와 함께 붕괴되었다. 붕괴 이후 나는 폐허의 목소리로 남아 이야기 뒤에 이야기를 부르고 있다. 불러도 돌아오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 돌아오지 마라. 거기서 다시 시작해라. 어떤 이야기는 붕괴 이후에 시작되기도 하나 보다. 이야기 뒤에 이야기가 이어지고 있다. 나는 다시 시작하고 있다. 도시 뒤에 도시가 있다. 도사리고 있다. 그것이 내가 이야기를 이어가는 이유다.
「뒤에」 p. 237
작가의 말
서툰 이야기의 낫질로
여기까지 왔다.
저기까지 가려면 아직 멀었다.
과연 여기서 저기를 바라거나 바라볼 수 있을까.
어떤 안부들을 이야기로 돌려줄 수 있을까.
속으로만 되뇌는 이름이 있다.
이름 뒤에 따라오는 문장이 있다.
혀끝에 맴도는 문장에 귀 기울이는 이야기가 있다.
미처 쓰지 못한 이야기를 생각한다.
생각만 하면 뒤늦게 미치게 만드는 이야기도 있다.
진정과 흥분 사이에서 종종 길을 잃었다.
그때 이야기가 보였다 사라졌다.
이 책의 제목을 ‘읽다만 책’으로 하려고 했다.
하지 않았다.
그건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아니 나의 잘못이라고 말해야만 한다.
다음 책의 제목은 ‘능력 없는 책’으로 하고 싶다.
흰 말이여
놀라지 마라.
검은 말이여
놀리지 마라.
나는 영영 MARA의 세계에서 자고 나면 깰 것이다.
말들의 침묵과 웃음이 나의 枕木이다.
어쩌면 다음 책의 제목은 ‘베개 이야기’가 될지 모른다.
목이 긴 여자가 얼룩말을 따라간다.
아이가 토마토케첩 병을 벽에 던진다.
먹구름이 먹을 밀어낸다.
이 방에는 창이 없다.
구름도 없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저기는 없다.
친구여,
녹슨 낫을 품고 ㄱ의 풀밭에서 만나자.
포주 이야기
물의 무덤
쓸개
웅덩이
머리 없이 허리 없이
허리
머리
뒤에
해설 죽음의 글쓰기_김태환
작가의 말
[문화일보] 글을 부정하는 글… 새로운 소설話法
[연합뉴스] 이야기가 붕괴된 이후의 이야기
[한겨레] 머리도 없고 허리도 없는 ‘언어의 고투’
[국민일보] 이야기란 일종의 배설물… 김태용 소설집 ‘포주 이야기’
[한국일보] 끝나지 않는 이야기를 위한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다
[뉴시스] 김태용 분신, 무능한 화자… ‘포주 이야기’
[한겨레] “고시원 방에서 창녀촌의 눅눅함이 탄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