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2

최인훈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2008년 11월 13일 | ISBN 9788932019307

사양 · 618쪽 | 가격 14,000원

책소개

『화두』(전2권, 1994년 제6회 이산문학상 수상작)는 우리 시대 대표적 지성이자 전후 최대의 작가인 최인훈의 ‘생애의 작품’이다. 20세기 세계사의 격변 속에 맞물려온 한반도의 운명, 그 역정을 고독하게 종단한 한 개인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보편적인 20세기인의 삶과 고뇌를 응시하게 된다.

“사람은 관념의 세계시민은 될 수 있어도 그와 마찬가지로 현실의 세계시민이 될 수는 없다.” -『화두』 1에서

소설 『화두』는, 기본적으로 한 소설가가 미국과 러시아의 행장기를 중심으로 20세기의 화두를 찾아나서는 소설을 구상하고, 또한 구성하는 과정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20세기 말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있는 이 화두 풀이 작업은, 지난 20세기의 기억과 관련된다. 그 거듭되는 기억의 발생으로 한 땀 한 땀 엮이는 여정, 울울한 기억의 성층 사이에서 작가는 20세기와 ‘나’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나는 누구인가” “진정한 인간은 무엇인가”를 묻고 찾아 나선다.
작품의 화자는 일제시대 북에서 태어났으나 6․25전쟁 기간 중에 북에서 탈출하여 가족과 함께 월남한다. 이후 4․19, 5․16, 10월유신, 광주항쟁 등 민족사적 격랑과 중국 공산화, 독일 통일이나 동구 몰락, 소련 해체 등 세계사적 지각 변동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이러한 생애의 기억은, 소설 속에서 ‘북한—남한—미국—남한—미국—남한—러시아—남한’ 등의 공간 경로로 이동해가며 층층이 쌓인 켜를 드러내며, 그에 따라 주인공의 의식 지평 또한 점점 넓게 그리고 깊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런데 그 방식은 단선적 연대기나 유기적 플롯과는 거리가 먼, 시공간을 재배치하고 중첩시키면서 축성된다. 독자들은 끝없이 열린 소설의 구조를 따라가며, 거대한 사유의 집적물들이, 원숙한 이성의 성찰과 자유로운 감성의 무늬들이 한데 모여 마침내 우리 자신의 화두를 열어젖히는 체험을 하게 된다.

『화두』는 우리 시대 최고의 거장의 눈으로 20세기 자체를 전면적으로 탐색하면서 20세기인의 운명을 큰 시각에서 조망한 대작이다. 한반도의 변두리에서 태어난 한 작가의 인식 여정이 소설 전반을 통해 세계의 중심부에 진입하는 과정을 따라가며, 고통스런 현대사를 거쳐 이제 우리가 도달한 자리를 정직하게 맞닥뜨리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자들은 새로운 세기의 새로운 미래를 꿈꾼다. 문학과지성사가 심혈을 기울여 새롭게 내놓은 『광장』에서 『화두』까지의 ‘최인훈 전집’은, 그야말로 한국의 분단 상황에서 20세기 세계체제론에 이르는 문학적 성찰의 역정으로 더할 나위 없는 독서 체험을 제공할 것이다.

표지 그림: 유영국, , 1995년, 캔버스에 유채, 97X130.5cm(c)유영국미술문화재단
작가 컷: 김영덕

작가 소개

최인훈 지음

1934년 4월 13일 함북 회령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법대에서 수학했다(2017년 명예졸업). 1959년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傳)」이 『자유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작품 집필과 후진 양성에 힘써왔다. 『광장/구운몽』 『회색인』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크리스마스 캐럴/가면고』 『하늘의 다리/두만강』 『우상의 집』 『총독의 소리』 『화두』 등의 소설과 희곡집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산문집 『유토피아의 꿈』 『문학과 이데올로기』 『길에 관한 명상』 등을 출간했다. 동인문학상(1966),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1977), 중앙문화대상 예술 부문 장려상(1978), 서울극평가그룹상(1979), 이산문학상(1994), 박경리문학상(2011) 등을 수상했다. 『광장』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으로, 『회색인』이 영어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가 영어와 러시아어 등으로 번역, 간행되었다. 2018년 7월 23일 별세했다. 사후 금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9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