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전2권)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 1
쓸쓸한 밤길
“우리 청소년소설의 재발견”
근대 청소년소설의 출발에서 완성까지 33편의 이야기가 한자리에!
우리 청소년소설의 원형을 찾다
문학과지성사의 청소년 도서 ‘문지푸른책’에서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이 두 권으로 묶여 나왔다. 이 선집은 우리 문학의 소중한 유산인 1920년대와 30년대의 청소년소설 33편을 실었다.
이 책은 최근 청소년을 위한 소설 출간이 활발해지면서 우리 청소년소설의 원형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서 기획되었다. 청소년만을 위한 문학작품은 이미 1920년대부터 씌어지기 시작했는데 당시의 작가들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구별되어야 하고 그들에게 맞는 이야기를 새로 써야 한다는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 숙명여대 국문과 교수이자 소설가이며 청소년을 위한 책들을 계속적으로 집필해온 엮은이 최시한은 이러한 점에 착안,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을 연구한 숙명여대 국문학 연구자 최배은과 함께 여기 실린 작품의 절반가량을 새로 발굴하였다. 또한 처음 발표된 지면을 일일이 찾아 현재의 어법에 맞게 고치는 작업을 1년여에 걸쳐 진행하였다.
근대 청소년소설이 형성되고 전개된 1920년대와 30년대는 일제의 수탈과 민족 말살 정책이 극심하여 한국인은 매우 짓눌리고 궁핍한 처지에 놓여 있었다. 특히 아버지가 독립운동이나 돈벌이를 위해 간도, 일본 등으로 떠나면, 어머니 혼자 생계를 유지하다가 어머니마저 병이 들어 목숨을 잃는 경우가 흔하였다. 그래서 고아나 결손 가정이 많았으며, 청소년들이 직접 빵과 신문을 팔기도 하고, 공장에 취직하여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 그들이 월사금을 못 내 학교에서 쫓겨나는 일도 많았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당대의 청소년소설은 결핍된 가정의 청소년이 부모님을 그리워하거나 가난 때문에 겪는 고통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방정환, 현덕과 같은 당시의 대표적인 아동·청소년문학 작가들은 궁핍하고 억눌리는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이들이 희망을 갖고 꿈을 키워나가기를 바랐다. 이 가운데에는 「만년 샤쓰」와 같이 잘 알려진 작품도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면서도 요즘의 작품에도 전혀 뒤지지 않는 훌륭한 작품들도 있다. 따라서 그동안 아동문학으로 분류되어온 작품들도 청소년소설로 새로이 자리매김 하였으며 이태준, 이효석, 김유정, 박태원, 김동리 등 당대 최고의 작가들이 청소년을 위해 썼거나 그들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들도 발굴하여 실었다. 특히 2권에 실린 「고사리」는 성(性)을 자주 제재로 삼았던 이효석의 작품으로서, 빨리 어른이 되고 싶은 청소년의 욕망을 토속어를 사용하여 매우 노골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작가가 청소년을 교육의 대상으로 보는 윤리적 태도에서 벗어나, 그 부정적인 모습까지 집요하게 이야기한 점이 매우 색다르고 충격적이다. 또한 1930년대를 대표하는 현덕의 걸작 「나비를 잡는 아버지」에서는, 지주의 아들에게 사과를 강요하는 부모를 이해하지 못하던 소년이, 자기 대신 나비를 잡는 아버지를 보며 자기 집의 처지를 깨닫는 결말이 감동적이다.
최근 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들을 위한 문학도 활발하게 출간되고 있지만 오늘의 시각으로 읽어도 신선하고 감동을 주는 작품들은 이미 1920년대부터 존재해왔다.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에 실린 33편의 주옥같은 작품은 가장 어려웠던 시대에 씌어진 희망의 이야기들이다. 나라 잃은 설움과 가난을 딛고 꿈을 키워주고자 했던 이 작품들은 오늘날 청소년들의 가슴에도 새로운 감동을 심어줄 것이다.
1920년대를 대표하는 청소년소설
이 책에 실린 작품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인 청소년소설 작가들의 작품 중 당시 사회와 청소년의 삶을 잘 그려내어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우선 뽑았다.
둘째, 되도록 오늘의 청소년이 흥미롭고 유익하게 읽을 수 있는 제재와 서술을 갖춘 순수 창작 단편소설 위주로 선정하였다. 장편소설, 지나치게 흥미 위주인 것(탐정소설, 역사소설, 모험소설류), 외국 작품을 번역하거나 번안한 것 등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청소년을 제1차 독자로 삼고 쓴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독자를 그렇게 한정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도 청소년소설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 선정하였다.
넷째, 글이 발표된 차례대로 엮었으나, 한 작가의 작품은 한데 모았다.
다섯째, 방정환과 현덕은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판단하여 세 작품씩 수록하였다.
여섯째, 원전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표현을 현대 어법에 맞게 바꾸고 다듬었다. 오늘날 잘 사용하지 않는 어휘나 표현은 낱말 뜻풀이를 달아 이해를 도왔다.
이 책에 실린 1920년대 작품들 가운데 특히 「행랑자식」 「언밥」 「쓸쓸한 밤길」 등이 가난의 설움을 진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가진 자들의 횡포에 대한 분노가 바탕에 깔려 있다. 이태준의 「쓸쓸한 밤길」은 부모 잃은 소년이 친척 어른의 횡포로 자기 집과 재산을 모두 빼앗긴 채 집을 나오는 이야기로, 나라 잃은 설움을 빗대어 그린 것으로 읽을 수도 있다.
초기엔 부모를 잃거나 가난하여 눈물짓는 청소년의 이야기가 대부분이었지만, 점점 어려움에 처한 친구나 이웃을 돕는 이야기가 많아진다. 「야구빵 장수」 「동무를 위하여」 「경희의 빈 도시락」 「만년샤쓰」 「눈물의 은메달」 등이 그 같은 미담(美談)을 다룬 작품들이다. 그 가운데 방정환의 「만년샤쓰」는 흥미로운 사건 전개와 생동감 있는 묘사로 1920년대 청소년소설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정의의 승리」 「참된 우정」 등은 정의와 정직, 즉 근대 청소년소설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그 가치들을 제재로 삼은 작품이다. 「참된 우정」은 누명을 쓰면서도 친구를 위해 그 사실을 밝히지 않아, 친구를 깊이 반성케 하는 이야기이다.
한편 「곡마단의 두 소녀」와 「동무와 잡지와 떡」은 『어린이』의 ‘소녀란’에 게재된 ‘소녀소설’로서 소녀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들의 자매애와 우정을 그리고 있다.
사회주의 계열의 작품을 많이 쓴 송영의 「쫓겨 가신 선생님」은 청소년의 눈을 빌어 민족 교육에 대한 일제의 탄압을 폭로하고 있다. 이 소설이 일제의 검열에 걸려 『어린이』의 발간 시기가 늦어지고, 방정환을 비롯한 편집인들이 곤욕을 치르기도 했던 작품이다. 「1+1=?」은 오늘날의 중학교에 해당하는 고등보통학교 1학년의 첫 수학 시간 이야기로, 원리를 깨우치게 하는 학습법이 인상적이다. 「용길이의 기공」은 지혜로운 소년이 추리를 통해 도둑을 잡는 단편 추리소설로, 청소년소설 가운데 추리소설이 드물고, 또 당시 대부분의 추리소설이 장편인 것을 생각하면, 매우 독특한 작품이다.
■ 작가 소개
● 1권 ●
1. 나도향(羅稻香)(1902~1927)
소설가. 본명은 경손(慶孫), ‘도향’은 필명. 또다른 필명은 빈(彬).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보를 졸업하고, 경성의전에 입학했으나 중퇴한 후 문학 활동에 매진했다. 단편 20여 편과 장편 2편, 수필 몇 편을 남기고 폐병으로 일찍 사망했다. 대표작으로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 「지형근」 등이 손꼽힌다. 청소년소설로「행랑자식」이 있다.
2. 권환(權煥)(1903~1954)
시인, 평론가, 소설가. 본명은 경완(景完), 경남 창원 출생. 일본 교토제국대학 독문학과를 졸업했다. 귀국 후, 카프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사회주의 계열의 시, 평론 등을 썼다. 대표작으로 『자화상』 『윤리』 등의 시집과 「무산예술운동의 별고와 장래의 전개책」 「시평과 시론」 등의 평론이 있다. 1925년부터 사회주의 계열의 소년잡지 『신소년』에 「세상구경」 「아버지」 「언밥」 「마지막 웃음」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3. 문인암(文仁岩)
이력을 알 수 없다. 1926년 12월 『어린이』에 청소년소설 「야구빵 장수」를 발표했다.
4. 방정환(方定煥)(1899~1931)
아동문화운동가, 구연동화가, 동요·동화작가, 소설가. 호는 소파(小波). 서울 출생. 일본 도요(東洋) 대학 철학과에서 아동문학과 아동심리학을 공부했다. 소년입지회, 청년구락부, 천도교 청년회, 천도교 소년회, 색동회, 소년운동협의회, 소년연합회 등을 조직하여 어린이, 청소년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3년 『어린이』를 비롯하여, 『신청년』 『녹성』 『별건곤』 『학생』 『혜성』 등의 잡지를 발간하였으며,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세계 아동예술 전람회를 개최하는 등 민족계몽과 아동문화 운동에 선구적 업적을 남겼다. 대표작으로 「형제별」, 「귀뚜라미」 등의 동요와, 「만년 샤쓰」, 『동생을 찾으러』 『칠칠단의 비밀』 등의 청소년소설, 번안동화집 『사랑의 선물』 등이 있다.
5. 연성흠(延星欽)(1902~1945)
아동문화 운동가, 청소년소설가. 명진소년회와 아동문학연구 단체인 별탑회를 만들어 소년운동에 힘을 쏟았다. 해방이 되자마자, 최병화와 아동예술연구 단체 ‘호동원(好童園)’을 만들어 활동하는 등 평생을 아동 문화운동에 바쳤으며, 『어린이』에 「눈물의 은메달」 「창수의 지각」 「희망에 빛나는 소년」 「희망의 꽃」 「용길이의 기공」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했다.
6. 송영(宋影)(1903~?)
아동문학가, 극작가, 평론가. 본명은 무현(武鉉, 茂鉉). 서울 출생. 1919년 배재고보를 중퇴했고, 해방 후 월북하였다. 1925년 카프 창건에 참가하는 한편, 아동·청소년잡지 『별나라』등의 편집을 담당했다. 대표작으로 「교체 시간」 「노인부」 「야학 교사」등의 소설과 희곡 「방랑시인 김립」이 있으며, 「어떤 나무꾼 아이의 일생」 「쫓겨 가신 선생님」 「옷자락은 깃발같이」 「고래」등 다수의 청소년소설을 썼다.
7. 최경화(崔京化)
『어린이』의 독자로 글을 발표하다가 1928년 이 잡지사에 입사했다. 『어린이』에 ‘소녀애화’라는 이름으로 청소년소설 「동무와 잡지와 떡」을 발표했다.
8. 백시라
이력을 알 수 없다. 1928년 『어린이』에 ‘소녀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청소년소설 「곡마단의 두 소녀」를 발표했다.
9. 이정호(李定鎬)(1906~1938)
아동문화 운동가, 동화 작가. 호는 미소(微笑). 천도교 소년회 회원으로 일찍부터 아동문화운동에 참가하였다. 개벽사에 입사한 이후, 『어린이』 『신여성』 등의 잡지 편집을 도왔으며, 최병화, 연성흠 등과 함께 아동문학연구 단체인 ‘별탑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화운동을 전개했다. 주로 외국작품 번역과 동화 구연 활동에 치중하여, 데아미치스의 『사랑의 학교』를 소개하였고 『세계일주동화집』을 펴냈다. 대표작으로 「이상한 연적」 「아가씨와 요술할멈」 등의 동화, 「귀여운 희생」 「군밤 장수」 등의 청소년소설이 있다.
10. 이태준(李泰俊)(1904~?)
소설가. 호는 상허(尙虛), 상허당 주인(尙虛堂主人). 강원도 철원군 출생. 휘문고보 및 도쿄 조치(上智) 대학 중퇴. 1929년 『개벽』에 입사하여 『학생』 『신생』 등의 편집에 관여하며 「몰라쟁이 엄마」 「슬퍼하는 나무」 등의 동화와 「어린 수문장」 「쓸쓸한 밤길」 「눈물의 입학」 등의 청소년소설을 발표하였다. 구인회 동인으로 활동했고, 1939년부터 『문장』을 주관하였다. 해방 이후 월북했으며, 1956년 숙청당했다. 『달밤』 『까마귀』 등의 단편집 7권과 『구원의 여상』 『청춘무성』 등의 장편 13권 및 수필집 『무서록』 『소련기행』등을 발간하였다.
11. 최병화(崔秉和)(1905~1951)
청소년소설가. 호는 고접(孤蝶). 서울 출생.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교사, 편집기자 등의 활동을 하였다. 아동·청소년잡지 『별나라』의 편집동인이며, 해방 후 김영일, 연성흠 등과 함께 아동예술연구 단체 ‘호동원(好童園)’을 창립하고, 아동극단 ‘호동(好童)’을 조직, 활약하였다.
1920년대 후반부터 『어린이』 『별나라』 『아이생활』 등의 잡지에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해방 후에도 『소학생』 『새동무』 『소년』 등에 계속 기고했다. 대표작으로 「옥수수 익을 때」 「누님의 얼굴」 「참된 우정」 등의 청소년소설이 있고, 『희망의 꽃다발』 『꽃피는 고향』 『즐거운 자장가』 『낙화암에 피는 꽃』 등의 청소년소설집이 있다.
1권 쓸쓸한 밤길
행랑자식_나도향
언 밥_권환
야구빵 장사_문인암
동무를 위하여_방정환
만년 샤쓰_방정환
1+1=?_방정환
눈물의 은메달_연성흠
용길이의 기공_연성흠
쫓겨 가신 선생님_송영
동무와 잡지와 떡_최경화
곡마단의 두 소녀_백시라
정의의 승리_이정호
쓸쓸한 밤길_이태준
참된 우정_최병화
경희의 빈 도시락_최병화
해설·궁핍한 환경에서 자란 청소년소설
작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