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역사 - 통권 제68집 2005년
분야 반년간 사회와 역사
머리말
─제68집을 발간하면서
한국사회사학회가 출범하면서 내세운 것은 “한국 사회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과학적 인식과 학문의 주체적 수용·발전”이었다. 그동안 한국사회사학회의 학회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묵묵히 자기 역할을 해왔다고 자부한다. 이번 호에도 모두 사실(史實)에 충실한 가운데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여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좋은 논문들이 투고되었다. 편집위원회로서는 제한된 지면이 안타까울 뿐이었다.
이번 호의 특집 주제는 ‘한국 전쟁과 지역 공동체’로 잡았다. 이 특집은 올해 7월 8일부터 9일까지 전라남도 구례에서 ‘한국 전쟁과 지리산’이라는 주제로 열린 한국사회사학회 2005년 여름 워크숍의 결과이다. 특집에 실린 최정기·노영기·정호기·김권호의 논문은 20세기 최대의 민족 비극인 한국 전쟁을 전후한 시기의 이념 대립이 지리산권 민중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되짚어보고 있다. 특히 네 편의 논문이 모두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이라는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이 이후 왜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지역의 주민들에게 기억되었는지 아니면 거꾸로 망각되었는지에 대해 날카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방법론상으로도 증언 자료, 전쟁 기념물, 영화 등 기존의 문헌 자료를 뛰어넘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연구 논문은 일곱 편이다. 박미해의 논문은 조선 시대 한 양반가의 천장(遷葬) 과정을 꼼꼼하게 정리하면서 거기에서 권력 구조, 신분제, 남녀 역할 문제 등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끌어내고 있다. 김상준의 논문은 유교를 반근대로 보는 기존의 견해를 비판하면서 유교적 근대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동학을 재해석하고 있다. 특히 유교 내부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지던 자기 갱신의 한 산물로 대중 유교로서의 동학이 출현하게 되었다는 주장이 참신하다. 이정은의 논문은 인권의 개념이 일본의 메이지(明治) 초기에 수용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당시의 역사적 맥락과 관련해 논의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인권 개념 수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를 제공하고 있다. 우대형의 논문은 사회사학계에서는 보기 힘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일제에 의한 개량 농법이 일제 강점기 농촌 양극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논증하고 있다. 신주백의 논문은 체육 대회, 체력 검사 등으로 상징되는 일제 강점 말기의 체육 정책이 전쟁에 복무할 수 있는 균질화한 신체의 대량 생산이라는 의도 아래 이루어진 체육의 군사화 정책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해방 이후 일제의 체육 정책이 식민지 유산으로 지속되고 있었음을 지적한 부분도 흥미롭다. 이희영의 논문은 독일의 한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정치 활동을 생애사라는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이들이 각자 삶의 체험과 성찰을 이야기한 구술 자료 자체만으로도 큰 가치가 느껴진다. 마지막으로 고형면의 논문은 신용 카드가 금융 자본의 한국 사회에 도입되고 정착된 사회사적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최근의 신용 카드 위기 사태를 그 이면에 감춰진 자본의 운동이라는 맥락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편집을 마치고 나서 새삼 확인했지만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도 『사회와 역사』에 처음 글을 발표하는 필자들이 적지 않다. 새로운 소재를 찾아내거나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내세우는 필자들의 등장이 반갑기 짝이 없다. 다음 호에도 새로운 필자들의 글이 지면을 메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회와 역사』 편집위원회
머리말
[특집] 한국 전쟁과 지역 공동체
최정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의 국가 폭력:1948년 이후 구례 지역의 민간인 학살을 중심으로
노영기/ 여순 사건과 구례:여순 사건 직후 군대의 주둔과 진압을 중심으로
정호기/ 전쟁 기억의 매개체와 담론의 변화:지리산권의 한국전쟁 기념물을 중심으로
김권호/ 전쟁 기억의 영화적 재현:한국 전쟁기 지리산권을 다룬 영화들을 중심으로
[연구논문]
박미혜/ 조선 중기 이문건가의 천장례 준비:『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김상준/ 대중 유교로서의 동학:’유교적 근대성’의 관점에서
이정은/ 메이지 초기 일본의 천황제 국가 건설과 ‘인권’:후쿠자와 유키치와 카토 히로유키의 ‘인권론’을 중심으로
우대형/ 일제하 ‘개량 농버’의 이식과 농촌의 양극화
신주백/ 일제 말기 체육 정책과 조선인에게 강제된 건강:체육 교육의 군사화 경향과 실종을 중심으로
이희영/ 이주 노동자의 생애 체험과 사회 운동:독일로 간 한국인 1세대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고형면/ 한국에서의 신용 카드 금융 제도화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