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학 시인 여섯번째 시집 출간
언어는 정신까지 가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이윤학 시인이 제22회 김수영문학상 수상작인 『꽃 막대기와 꽃뱀과 소녀와』 이후 3년여 만에 다섯번째 시집을 냈다. 삶 주변의 낯익은 사물·사건들을 정면에서 마주하고 옮긴 시 60편을 묶은 『그림자를 마신다』. 199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15년 동안 다섯 권의 시집을 냈으니 3년에 한 권 꼴이다. 이번에도 그 사이클을 대략 맞춘 셈인데, 이를 통해 보더라도 그가 얼마나 부지런한 시인인지, 아니 얼마나 진솔하게 시를 업(業)으로 삼고 있는 시인인지 옹골차게 증명된다.
이윤학의 시는 담백하고 명징하다. 그의 시는 드라이하면서도 단단하다. 그는 시에 있어서만큼은 기교나 타협을 허용하지 않는다. 시시각각 싸움을 걸어오는 세상과 언제나 정면으로 맞설 뿐이다. 그 싸움의 끝장에 사리 같은 그의 시가 촘촘하게 박혀 있다. 시에 대한 이러한 자세와 독기가 그의 시의 독특한 아우라를 만들어낸다는 것이 같은 업(業)을 살고 있는 정병근 시인의 해석이다.
이번 시집 『그림자를 마신다』 역시 이윤학 시의 진면목은 ‘묘사력’에서 나온다. 크지 않은 사물·사건들도 그의 시야에 걸려들면 세상의 단면(單面)이 되거나 삶에서의 중요한 상징이 된다. 시시콜콜 진술하고 나열하고 주장하는 방식에 비하면 그의 ‘묘사’는 많은 것을 말하지 않음으로써 더 많은 이미지들을 (설명하지 않고도) 보여준다. 시집 뒤표지의 ‘시인이 쓰는 산문’에 “언어는 정신까지 가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라 적은 단 한 줄의 경구 역시 그러한 인식의 다른 표현일 것이다. 아주 쉬운 시어들로만 엮인 그의 시편들을 보다보면 이윤학 시인의 정신이 보여주는 도저한 의식의 흐름과 마주하게 된다. 그 이미지는 단순한 듯하지만 정갈하고, 투박한 듯하지만 사실은 단단하다. 마치 ‘언어’의 기능은 본시 그러했다는 듯.
■ 차례
제1부
직산 가는 길/후박나무 잎사귀 체/오리/풀밭/시금치밭/오동나무 그늘/민들레/개구리 알 둘/빗방울/여자아이와 하트와 화살/새소리/은행잎 카펫/뿌리/대문 앞/억새풀
제2부
흰 철쭉/나이테/절름발이 까치/장미/올챙이/죽변/기침/다리/모차르트를 듣는다/겨울 법수치계곡/손/확인/광천/겨울밤/단풍잎 장판
제3부
나팔꽃/순간/무덤이라는 동네/넝쿨장미/목장길 1/목장길 2/유월 한낮이다/그림자를 마신다/쉰내/등/흔적/애무/은행잎들/팔월/납가새
제4부
겨울 하늘/눈/개미/남부터미널/십일월/시월/추석/끈/닭대가리들/호박꽃/하루 종일 귤만 까먹었다/수도꼭지/밤나무/갈대/어머니 말씀
해설 | 응시와 묘사의 매혹·정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