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것 그대로 살아 있는 이미지 ― 날이미지시
문지 시인선 301호, 오규원 시집 출간
시인 오규원이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 이후 6년 만에 아홉번째 시집을 냈다.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 ‘날이미지시’라는 본인의 시론으로써 응결된 54편의 시를 오롯이 담고 있다. 그간 무수한 시인 제자를 배출하며 몸담았던 서울예술대학을 떠나 경기도 양평의 서후리에 정착하는 기간, 사소한 물물(物物)들과 장삼이사(張三李四)를 현상 그 자체, 즉 ‘날이미지’로써 형상화한 시편들이다.
‘날이미지시’란 “개념화되거나 사변화되기 이전의 의미, 즉 ‘날[生]이미지’로서의 현상. 그 현상으로 이루어진 시”로 1991년 「은유적 체계와 환유적 체계」라는 에세이를 발표하면서 본격화한 개념이다. 오규원 시인이 처음 주창하고 다듬었으며, 자신 스스로 시 창작의 한 이론으로 삼아 체계화했다. 한국 시단(詩壇)에는 숱한 시인이 활동하고 있으나 사실 본인의 시론으로써 이론적 무장을 한 시인은 드물었다. 그러므로 이번 시집은 1965년 『현대문학』에 초회 추천(68년 추천 완료)을 받은 이래 40년 동안 9권의 시집을 내며 한국 현대시사(史)를 이끌었으며, 오랜 기간 대학에서 시 창작을 지도한 ‘시단의 산증인’이 자신의 시론의 정수를 펼쳤다는 점에서 뜻깊다. 이런 여러 의미로써 문학과지성사는 새로운 표지와 본문 디자인을 선보이는 300번대 첫 개인 시집으로 오규원의 시집을 택했으며, 시인의 시 이론서인 『날이미지와 시』(문지 스펙트럼 5-017)와 함께 나란히 출간하게 된 것이다.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는 시인이 주창한 ‘날이미지시’들로 충만해 있다. 은유적 언어 체계를 주변부로 돌리고 환유적 언어 체계를 중심부에 두고 있다. 그렇기에 나(주체)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낱낱의 물물(物物)들의 관점에서 ‘그저’ 서로 바라본다. 그 사이사이에서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묘(妙)로써 상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규원의 시는 시인에 의해 붓질된 것이 아니라 그 스스로 그림의 액자 혹은 영화의 프레임 역할을 할 뿐이다. 그 속에서 세상 만물은 날것 그대로 살아 있는 이미지이다.
■ 시인의 말
시집을 낸다.
6년만이다.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
이런 물물(物物)과 나란히 앉고 또 나란히 서서
한 시절을 보낸 인간인 나의 기록이다.
2005년 봄 서후에서
오규원
나무와 돌
호수와 나무
나무와 돌
양철 지붕과 봄비
허공과 구멍
하늘과 침묵
골목과 아이
사진과 나
그림과 나 1
그림과 나 2
그림과 나 3
강과 나
하늘과 두께
몸과 다리
아이와 망초
그림자와 나무
숲과 새
해와 미루나무
강과 둑
강과 나
둑과 나
강변과 모래
강과 강물
강과 사내
지붕과 벽
집과 허공
거리와 사내
길과 아이들
도로와 하늘
뜰과 귀
유리창과 빗방울
아침과 바람
꽃과 그림자
풀과 돌멩이
그림자와 길
나무와 잎
하늘과 포도 덩굴
서산과 해
9월과 뜰
국화와 벌
나무와 나무들
뜰과 귀
새와 나무
발자국과 깊이
새와 낮달
돌멩이와 편지
사람과 집
편지지와 편지봉투
사람과 집
봄밤과 악수
타일과 달빛
서후와 길
접시와 오후
눈송이와 전화
집과 주소
모자와 겨울
사진과 명자나무
집과 소식
해설 | ‘어느새’와 ‘다시’ 사이, 존재의 원환적 이행을 위한 · 정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