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살아, 남아 있어야 하는 이유와 그 실천!
40여 년간 문학과 출판을 위해 헌신해온 문학평론가 김병익이 『그래도 문학이 있어야 할 이유』라는 의미심장한 제목의 비평집을 출간했다. 이는 새로운 세기를 맞으며 문학평론가로서의 의지를 다졌던 『21세기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이후 3년여 만에 내는 비평집으로서, 신세기(21세기)가 본격화한 한국 문학의 지평을 오롯이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는 “문학이 더 이상 현실의 주도적 가치와 역할을 가지기 힘들다는 전망” 앞에서 “시간의 때를 타지 않고 문명의 변화라는 파고를 이겨낼 수 있는 인류의 영원한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진지한 문학”만이 21세기적 패러다임의 위협으로부터 문학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신구 세대 작가들의 작품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12편의 평론(제2부)과 함께, 7편의 ‘문학 일반에 관한 글’(제1부)과 5편의 ‘문학의 변두리 글’(제3부)이 함께 묶였다. ‘진지한 문학’의 실증적 예시와 함께 그 방법론 및 문학적 단상들로 채워진 셈이다.
제1부
‘한국문학사’ 다시 읽기
역사, 소설, 그리고 역사소설
중용과 화해의 인간형을 기다리며 ― 『삼대』의 조덕기
소설가는 왜 소설을 쓰는가 ― 이청준·김영현·김영하의 경우
시는 컴퓨터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변화의 틈새에서의 문학
그래도 문학이 있어야 할 이유
제2부
병든 세상 껴안기 ― 김원일 작품집 『물방울 하나 떨어지면』
자연에의 동화를 향한 꿈꾸기 ― 김주영의 김동리문학상 수상작 『멸치』에 대하여
이념의 상잔, 민족의 해원 ― 황석영 장편소설 『손님』
품위와 연민 ― 고종석 소설집 『엘리아의 제야』
괴이한 기척에서 원초에의 기억으로 ― 조경란 소설집 『코끼리를 찾아서』
원한의 역사와 화해의 전망 ― 류영국 장편소설 『만월까지』
존재의 허구, 그 불길한 틈 ― 김경욱 소설집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가난한 시대의 서러운 삶 ― 오상원, 이호철, 이문희, 박순녀, 조해일의 소설들
만인의 얼굴, 그 민족사적 벽화 ― 고은의 『만인보』 16~20권
기억으로 짓는 마법의 성 ― 복거일 시집 『나이 들어가는 아내를 위한 자장가』
시간의 슬픔과 소멸의 아름다움 ― 김윤배 시집 『부론에서 길을 잃다』
문학의 원래와 회통의 정신 ― 최원식 평론집 『문학의 귀환』
제3부
민족, 분단 극복, 그리고 세계 시민의 길
삶의 전기로서의 역사학을 위하여
한국 인문학 도서의 현황과 전망
나의 소중한 책들
호수공원에서 북한산을 바라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