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히브리 전통에 대한 묵상,
그리고 현실에 대한 시적인 비판
병마와 싸우며 이룩한
하인리히 하이네 만년의 대작
1848년 하이네는 척추결핵에 걸려 이른바 ‘이불 무덤Matratzengruft’ 상태에 틀어박히게 된다. 육체적인 고통에 더하여 그의 희망이던 1848/49년 혁명의 실패는 그를 끝없는 좌절감에 젖게 한다. 이제 정치적 진보에 대한 낙관주의는 그의 개인적인 고통 속에서 더 이상 희망이 없는 것으로 전락한다. 이러한 주변 상황의 열악한 여건 속에서 씌어진 『로만체로』는 하나의 일관된 테마를 변주하여 보여준다. 그것은 다름 아닌 병든 시인의 눈에 비친 지리멸렬한 세계의 모습이다.
이 시집은 「역사 이야기」 「애가」 「히브리의 노래」의 3부로 나뉘어 그 구성에서 하나의 완결된 구조를 보여준다. 역사적인 테마를 다루고 있는 제1부와 제3부가 가장 개인적인 내용을 담은 제2부를 마치 과일의 핵처럼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그가 취급하는 역사는 역사 그 자체로 작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그는 자신의 입장에 하나의 틀을 부여하는 역사적 소재를 통해 시에서 보편성을 구현하고자 한다.
제1부 역사 이야기 9
람프시니토스 왕 11 | 흰 코끼리 15 | 셸름 폰 베르겐 24 | 전쟁의 여신 발퀴레 27 | 헤이스팅스의 전쟁터 29 | 카를 1세 36 | 마리 앙투아네트 38 | 여왕 포마레 42 | 아폴로 신 48 | 소인족 56 | 두 기사 58 | 금송아지 62 | 다윗 왕 64 | 리처드 왕 66 | 아스라 67 | 수녀들 68 | 팔츠의 유타 백작 부인 71 | 무어 왕 73 | 조프리 뤼델과 멜리산데 폰 트리폴리 77 | 시인 피르두시 81 | 밤의 여행 91 | 비츨리푸츨리 94 | 옮긴이 주 125
제2부 애가 133
숲 속의 고독 135 | 스페인의 아트레우스 143 | 한번 살았던 자 158 | 예전에 야경꾼이었던 사람 160 | 플라텐 무리 167 | 신화 169 | 마틸데의 방명록에 쓰다 170 | 젊은이들에게 171 | 믿지 못하는 사람 172 | 기쁨 뒤에 오는 후회 173 | 가정의 평화에 대해서 174 | 이제 어디로 가나? 175 | 옛 노래 177 | 신용 179 | 시든 장미 180 | 화형 182 | 나자로 183 | 옮긴이 주 209
제3부 히브리의 노래 215
사바트 공주 217 | 예후다 벤 할레비 225 | 논쟁 271 | 옮긴이 주 294
주해 299
『로만체로』의 맺음말 308
옮긴이 해설 『로만체로』와 하이네의 이야기 시 318
하인리히 하이네 연보 327
기획의 말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