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글]
동아시아 근대상에 뚜렷하게 각인되어 있는 지역 국제 정치의 폭력과 갈등의 문제, 그것의 뿌리를 이루고 있는 역외 세력의 개입, 그리고 20세기를 통해 끊임없이 계승되어온 동아시아 갈등 구조의 중요한 당사자의 하나인 미국을 다루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출발점이자 종착역이다.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그 개입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되고 있었던가?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개입 정책의 본질적 성격은 어떤 역사적 사건을 통해 규명해볼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에서 특별히 주목하고자 하는 시기는 20세기 초반이며 그 분석 대상은 미국의 한국 정책이다. 동아시아 국제 정치에 있어 미국 개입의 강도와 성격은 어쩌면 “경계선 위의 관심 대상”인 한국과의 관계에서 그 변화 양상을 읽어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동아시아 국제 정치의 변동에서 중요한 한 축인 ‘외부 세력의 개입’을 담당하였던 미국이 과연 어떤 시각과 사고의 틀 속에서 한국 관계를 인식하고 정책을 결정했는가의 문제가 결국 20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_「서론」에서
서남 동양학술총서 간행사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동아시아 국제 정치의 근대상: 대립과 갈등의 역사와 유산
2. 왜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인가?
3.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한미 관계의 역사적 의미
제2장 방법론의 몇 가지 문제: 세계 체제론과 외교사 연구
1. 국제 정치학 방법론과 외교사 연구
2.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의 평가
3. 분석 시각의 문제: 왜 세계 체제론인가?
4. 개념적 논의: 세계 체제의 구조
5. 세계 체제의 구조와 외교 정책
제3장 19세기 세계 체제의 역사상과 동아시아
1. 19세기 세계 질서와 동북아 3국의 양극 분해
2. 영국의 패권 구조와 중국의 편입: 자유 무역의 제국주의
3. 세계 체제의 구조 변동기와 일본의 편입: 외압의 이완
4. 신제국주의 시대와 억압 구조의 강화
5. 동아시아 억압 구조의 성립: 조선에 대한 이중적 외압과 중국의 분할
6. 19세기 세계 체제의 구조적 역사상
제4장 19세기 후반 세계 체제 변동과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문호 개방 정책의 등장과 역사적 의미
1. 미국 외교 정책의 지속성과 문호 개방 정책
2. 미국 해외 팽창의 배경
3. 문호 개방 정책의 등장
4. 19세기 말 동아시아 억압 구조와 문호 개방 정책의 성격
5. 문호 개방 정책의 평가 논쟁
제5장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국제 정치적 배경: 지역 질서 불안정과 미국의 대응
1. 러시아의 만주 점령과 동북아 국제 정치의 위기
2. 만주 위기에 대한 일본의 인식
3. 만주 위기에 대한 열강의 태도와 미국의 대응
4. 만주 위기와 일본 외교 정책의 전환: 만환 교환에서 영일 동맹으로
제6장 루스벨트 대통령의 인식 체계와 한국 문제
1. 서론
2. 루스벨트의 신념 체계와 세계관
3. 루스벨트의 인식 세계와 한국에 대한 태도
4. 루스벨트 외교의 특징: 개인 외교와 한국 정책
5.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루스벨트의 역할
6. 가쓰라-테프트 밀약과 루스벨트의 한국 외교
제7장 국무성과 군부의 한국 인식과 외교 정책
1. 서론
2. 국무성의 고위 관료들의 인식과 역할
3. 주한 미국 공사관의 두 외교관: 앨런과 스트레이트의 인식과 역할
4. 20세기 초 미국 군부의 안보 및 전략 개념과 동아시아
5. 한반도에서의 미국 해군 기지 획득 추구와 포기 과정
6. 루스벨트와 관료 조직, 그리고 한국 정책
제8장 20세기 초 한미 경제 관계와 한국 정책
1. 세계 체제론, 외교 정책론과 국가간 경제 관계
2. 한말, 미국의 이권 획득
3. 한미 간 교역 관계
후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