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판소리는 우리 민족의 유산 가운데 매우 가치 있고 의미있는 문화 예술로서 하나의 예술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판소리에는 보통 사람들의 진솔한 삶이 담겨 있고, 역사가 숨쉬고 있으며, 당대 예술과의 교섭 흔적이 남아 있다. 그래서 판소리는 전통 사회와 문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입지를 제공해주는 문화 첨병인 것이다.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그 동안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판소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주는 이 책은 쉽게 풀어쓰고 체계적으로 접근한 판소리 개설서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판소리의 전반적 이해
판소리란 무엇인가 김대행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 전신재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 정병헌
판소리 음악의 구성 최종민
제2부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판소리의 기원 서대석
판소리의 유파와 기법적 특성 유영대
판소리 명창과 더늠 최동현
판소리와 창극 백현미
제3부 판소리의 예술 미학
판소리의 주제 구현 방식 서종문
판소리의 장르 교섭 양상 김현주
판소리의 작시 원리 박일용
판소리 사설의 문체 김병국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관계 김진영
제4부 판소리 작품의 이해와 감상
<춘향가> 김석배
<심청가> 정하영
<흥보가> 박영주
<수궁가> 민찬
<적벽가> 김상훈
<변강쇠가> 강진옥
<옹고집전> 장석규
<장끼타령> 정출헌
<배비장타령> 외 기타 실전 판소리 김종철
창작 판소리 김기형
판소리 관련 주요 문헌 목록
필자 소개
작가 소개
독자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