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시학/제강의 꿈

김현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1991년 6월 27일 | ISBN 9788932016900

사양 양장 · 신국판 152x225mm · 352쪽 | 가격 20,000원

책소개

이 책은 프랑스 문학가로서의 그의 뛰어난 연구 성과를 묶은 것으로, 초기의 그가 영향받은 바슐라르에 대한 집요한 연구와, 후기의 그가 새로이 관심둔 주제 비평 그룹인 제네바학파에 대한 탐색이 담긴 프랑스 문학에 대한 국제적 성과.

목차

『행복의 시학/제강의 꿈』에 대하여

행복의 시학: 바슐라르의 원형론 연구

글 머리에

서론

제1장 현대 과학이 인식론에 미친 영향
   1. 왜 현대 과학인가
   2. 물질과 현상 인지 조작
   3. 비데카르트적 인식론: 농의 철학

제2장 인식론적 방해물과 정신분석
   1. 객관성과 인식론적 방해물
   2. 오류의 교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제3장 바슐라르적 콤플렉스 개념
   1. 정신분석과 현상학에 작용한 세 원칙
   2. 문화 콤플렉스와 개인 콤플렉스
   3. 문화 콤플렉스의 여러 예들
   4. 비교 콤플렉스 심리학 연구

제4장 바슐라르적 원형의 개념
   1. 원형 개념의 변모
   2. 상상력과 문학 이미지

결론

<보유> 행복의 상상력

참고 문헌 및 약자

제강의 꿈: 제네바학파 연구

일러 두기

마르셀 레이몽의 도둑 콤플렉스에 대하여
제네바학파의 형성에 대하여
제네바학파의 몇몇 업적들
바로크 개념의 의미 변환에 대하여

인용된 글들
서지

원문 출처

김현 전집

한국 문학의 위상/문학사회학(김현전집1)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전집2)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김현전집3)
문학과 유토피아: 공감의 비평(김현전집4)
책읽기의 괴로움/살아 있는 시들(김현전집5)
젊은 시인들의 상상 세계/말들의 풍경(김현전집6)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김현전집7)
프랑스 비평사(근대 / 현대편) (김현전집8)
폭력의 구조/시칠리아의 암소(김현전집10)
현대 비평의 양상(김현전집11)
존재와 언어/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김현전집12)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김현전집13)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김현전집14)
행복한 책읽기/문학 단평 모음(김현전집15)
자료집(김현전집16)

작가 소개

김현 지음

김현(본명 김광남金光南, 1942~1990)은 1942년 전남 진도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 되던 해에 부모님을 따라 목포로 이주, 목포 북교국민학교와 목포중학교, 그리고 서울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 문리대 및 동 대학원 불문과를 졸업했으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 유학했으며 작고하기까지 서울대 인문대 불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62년 『자유문학自由文學』 3월호에 「나르시스 시론詩論」을 필명 ‘김현’으로 발표하며 공식적인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김승옥, 김치수, 최하림과 함께 소설 동인지 『산문시대』를, 1966년에 황동규, 박이도, 김화영, 김주연, 정현종과 더불어 시 전문지 『사계』를 창간했다. 이 두 잡지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1968년에 창간된 『68문학』은 고스란히 1970년 가을에 창간호를 낸 계간 『문학과지성』의 원형을 이룬다.

그는 불물학자로서 『프랑스 비평사』 2권과 『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 『바슐라르 연구硏究』 등 많은 연구서와 번역서를 펴냈으며, 문학평론가로서 『상상력과 인간』 『사회와 윤리』 『한국 문학의 위상』 『문학과 유토피아』 『말들의 풍경』 및 『한국문학사』의 비평집과 연구서를 상자했다.

『분석과 해석』으로 제1회 팔봉비평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행복한 책읽기』의 원고를 유고로 남긴 채 1990년 6월 27일 48세로 작고했다.

그의 사후 3년 뒤인 1993년에 『김현 문학전집』(문학과지성사, 전16권)이 간행되어 김현 문학의 거대한 덩어리에 접근하는 가장 충실한 자료가 갖춰졌다. 이어 2000년 4월에 원주 〈토지문학관〉에서 그의 10주기 기념 문학 심포지엄(‘4.19 이후의 한국 문학 비평’)이, 2010년 6월에 서울 동교동 〈문지문화원 사이〉에서 20주기 기념 문학 심포지엄(‘말들의 풍경’과 비평의 심연)이 각각 개최되었다. 2011년에 그의 정신적 뿌리에 해당하는 목포에 문학관(김현관)이 개원했고, 2015년 9월에는 서울 동숭동 〈예술가의 집〉에서 그의 25주기를 기념한 심포지엄(‘김현 비평의 역동성’) 개최와 더불어 문학상 ‘김현문학패’가 제정․시행되었다.

<

"김현"의 다른 책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1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