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의 폭력에서 책읽기/글쓰기의 의미란 무엇인가를 천착하고, 시읽기의 섬세한 감정의 기미를 드러내는 이 작업들은 문학이 지금-이곳의 고통의 표현임을 밝히고 진실은 진실화의 과정에 다름아니라는 명제를 찾아낸다.
『책읽기의 괴로움/살아 있는 시들』에 대하여
책읽기의 괴로움
Ⅰ
김춘수에 대한 두 개의 글
1. 시와 유년 시절
2. 김춘수에 대한 몇 개의 단상
전봉건에 대한 두 개의 글
1. 둥그런 불의 세계
2. 종다리의 시학
김수영에 대한 두 개의 글
1. 반성과 야유
2. 웃음의 체험
찬란한 슬픔의 봄: 김영랑·박용철·김현구
‘깃발’의 시학: 유치환
의미 없는 세계에서 살기: 황동규
Ⅱ
고향 탐색의 문학적 의미: 이문구·이청준
세속적 트임의 의미: 김원우
가난의 문화의 현장: 이동하
인간이라는 기호의 모습
반관습적 사랑의 모험: 조선작
이인성에 대한 두 개의 글
1. 소설과 실험
2. 전체에 대한 통찰
베끼기의 문학적 의미: 이문열
책읽기의 괴로움: 최인훈
<보론> 소설의 구조
책 뒤에
살아 있는 시들
제1권: 몽상 속의 작은 길들
제2권: 거대한 낙원에서
원문 출처
김현 전집
한국 문학의 위상/문학사회학(김현전집1)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전집2)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김현전집3)
문학과 유토피아: 공감의 비평(김현전집4)
젊은 시인들의 상상 세계/말들의 풍경(김현전집6)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김현전집7)
프랑스 비평사(근대 / 현대편) (김현전집8)
행복의 시학/제강의 꿈(김현전집9)
폭력의 구조/시칠리아의 암소(김현전집10)
현대 비평의 양상(김현전집11)
존재와 언어/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김현전집12)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김현전집13)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김현전집14)
행복한 책읽기/문학 단평 모음(김현전집15)
자료집(김현전집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