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와 민족 문제

신용하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1990년 2월 11일 | ISBN 2002194007658

사양 양장 · 크라운판 176x248mm · 448쪽 | 가격 8,000원

책소개

일제의 강점, 한국 전쟁, 분단, 그리고 오늘에 이어지는 외세의 신식민지 침탈 등에 대응하는 우리의 민족주의적인 활동을, 사회학자이며 역사학자인 저자는 주체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으로 재조명한다.

목차

책 머리에

제Ⅰ부 한국근대사와 민족문제

[한국 근대민족운동과 개항 백년 논의의 성찰]
머리말 / 초기 개화운동과 갑신정변 / 동학농민혁명운동과 갑오경장 /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운동 /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운동 / 맺음말

[갑신정변의 혁신 정강과 개혁 정책]
머리말 / 혁신 정강의 실재 / 혁신 정강의 내용을 통해 본 갑신정변의 개혁 정책 / 맺음말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머리말 / 동학의 민족주의·평등 사상·휴머니즘 / 교조신원운동과 척왜양창의 / 제1차 농민전쟁 / 집강소의 설치와 농민통치 / 제2차 농민전쟁 / 맺음말

[독립협회의 사회사상]
독립협회 사상의 사회적 지반 / 자주독립사상 / 자유민권사상 / 자강개혁사상 / 맺음말

[한말 의병운동의 전개 과정]
머리말 / 의병 운동의 5단계 전개 과정 / 을미 의병 운동의 봉기 / 한말 의병 운동의 재봉기와 확대 / 군대 해산과 의병 운동의 고양 / 십삼도 창의대진소의 서울 탈환 작전 / 의병 운동의 독립군으로의 전환 / 맺음말

[한말의 애국 계몽 운동]
애국 계몽 운동의 개념 / 애국 계몽 운동의 의병 운동의 관계 / 애국 계몽 운동의 주체 / 애국 계몽 운동의 기본 내용 / 애국 계몽 운동의 독립 전쟁 전략과 독립군 기지 창건 운동 / 애국 계몽 운동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

제Ⅱ부 일제시대사와 민족문제

[일제 식민지 시대의 성격과 민족문제]
일제 식민지 통치가 남긴 고통 / 민족 문제에 대한 우선적 관심의 필요 / 일제 식민지 정책의 특징 / 일제 민족 말살 정책의 구조 / 민족 독립·민족 보존· 민족 문화 운동 / 식민지 시대의 생산 양식 / 식민지 시대의 사회경제적 성격 / 식민지 상업 자본주의설과 반봉건 지주제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와 세계사적 의의]
머리말 /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맺음말

[독립군의 봉오동 전투와 천산리 독립 전쟁]
3·1운동 직후 독립군 편성과 국내 진입 작전 / 봉오동 전투 / 봉오동 대첩의 영향 / 독립군의 근거지 대이동 / 일본군의 간도 침입 / 청산리 독립 전쟁 / 청산리 독립 전쟁의 승전 / 청산리 독립 전재의 승리의 요인

[신간회의 민족 운동]
신간회 창립의 배경 / 신간회의 창립 / 신간회 본부의 민족 운동 / 신간회 지회의 민족 운동 / 신간회의 해소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배경 / 광주학생독립 운동의 발단 /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제1차 봉기 /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제2차 봉기 / 서울학생독립운동의 제1차 봉기 / 서울학생독립운동의 제2차 봉기 / 전국 학생독립 운동으로의 발전

[조선어학회의 민족 운동]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과 조선어학회 / 조선어학회의 기원 / 조선어연구회의 창립과 민족 운동 / 조선어학회로의 명칭 변경과 민족 운동 / 일제의 탄압과 ‘조선어학회 사건’

제Ⅲ부 한국현대사와 민족문제

[한국 분단의 원인과 해방전후 한국인의 역사 의식]
문제의 제기 / 독립 운동과 통일 독립 국가 건설 문제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한민국건국’ / 조선독립동맹의 건국강령/ 독립 운동 노선 차이는 차이는 분단 원인이 되었는가 / 한국 분단의 원인과 ‘열강의 정치야합설’ / 한국 분단점령에 대한 ‘포츠담 밀약설’ / 38도선 획정 / 맺음말

[한국 남북분단의 원인과 책임과 민족통일]
분단의 내인설은 오류 / 독립운동 세력은 통일독립국가 건설을 준비 / 남북분단원인과 책임은 미소에 / 열강의 정치야합 / 민족통일의 과제

[사월혁명의 역사적 성격]
사월혁명30주년 / 정치민주주의·자유민주주의 혁명 / 경제적 민족주의 혁명 / 사회정의와 문화적 민족주의 혁명 / 평화적 민족통일의 혁명 / 학생·지식인층의 ‘옆으로부터의 혁명’

[현대 한국 민족과 외세의 도전]
잊혀져가는 3월 1일 / 일본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주변의 외세와 한국 민족 / 동아시앙서의 한반도의 위치 / 외세의 시장 개방 압력과 한국 / 민족주의의 두 가지 유형

[일본 교과서의 ‘신군국주의’]
신군국주의론의 관점 / 일본 신군국주의의 개념과 그 특징 / 일본 신군국주의 대두의 조짐 / 신군국주의 책동의 일환으로서의 일본 교과서 / 사실(史實)이 외면된 사례 / 역사 왜곡의 중대성과 시각성 / 일본 역사가와 일본 교과서 / 일본 군국주의의 피해를 입은 아시아 제국민의 연대 / 한국 민족의 대각성의 필요

[『신편일본사』의 한국 역사 왜곡과 식민주의사관]
일본 교과서의 식민주의사관 / 『신편일본사』의 한국 역사 왜곡 사례(일): ‘정한론’의 경우 / 『신편일본사』의 한국 역사 왜곡 사례(이): ‘운양호사건’과 개항의 경우 / 『신편일본사』의 한국 역사 왜곡 사례(삼): 안중근 의사의 이등박문 처단과 병탄의 경우 / 일본 정부의 한국 역사왜곡 시정 노력의 필요

[일본의 무역제국주의와 문화 침수]
‘신중’과 ‘실제’의 중요성 / 일본이 가져간 300억 달러 / 일본의 대한 수입 규제 정책 / 일본의 무역 제국주의 / 일본 무역 제국주의 극복의 길 / 문화 교류에도 극심한 역조 현상 / 첨단 과학 기술의 교류 / 학술 교류의 문제 / 일본 영화와 대중 문화의 교류 / 한국 민족 문화와 일본의 민족 문화 / 일본 ‘문화 침략’의 이론적 설명 / 진정한 한·일 친선의 길 / 한국은 어떤 길을 가야 할까?

[미국의 개방압력과 일본의 무역제국주의]
민족 문제를 제기한 개방 압력 / 중진국일 때 민족 자주성이 더욱 필요하다 / 개방 정책은 미국 수입 규제 정책 못 바꾼다 / 시장 보호가 산업 보호의 첫째 요건 / 수입 개방 정책은 기술 혁신을 저해한다 / 현재의 상품 수입 개방 속도는 심각하다 / 불공정한 것은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다 / 저작권은 보호해주어야 한다 / 보험 등 서비스업은 개방할 필요가 없다 / 외국 은행에 대한 특혜를 철폐해야 한다 / 누구를 위한 주식 시장의 개방인가 /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올 일본 / 일본은 참으로 무역 제국주의이다. / 직접 투자는 가장 악성의 외채이다. / 상호주의와 소위 개방론의 허구성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우리 어머니들에게 기대한다.

작가 소개

신용하 지음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와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대표 저서로 『한국민족독립운동사 연구』 『한국근대사회사 연구』 『한국근대사회사상사 연구』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독립협회연구』 『일제 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 『신간회의 민족운동』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 연구』 『고조선 문명의 사회사』 등이 있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