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현실주의 소설 연구

김윤식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1990년 6월 10일 | ISBN 2002194007672

사양 신국판 152x225mm · 575쪽 | 가격 9,000원

책소개

한설야 이기영 박태준 최명익 등 월북 작가로부터 오늘의 현대 작가들에 이르기까지 분단 이후의 북한의 현대 소설에 대한 집중적 연구. 이로써 우리 문학사에 북한 문학이 편입되며 한민족의 통일 문학사가 구성된다.

목차

머리말

Ⅰ. 작가론

[이기영론]
1. 『고향』이 놓인 자리 / 2. 형상성과 예술성의 차이 / 3. 제도의 물신화와 마름의 관계 / 4. 물신화의 표정 읽기의 능력 / 5. 본질적인 것과 소설 미달 현상 / 6. 예술성과 형상성의 차이 / 7. 『두만강』: 역사 인식의 초과 현상

[한설야론]
1. 한설야의 견고성 / 2. 원칙론으로서의 유물변증법: 당파성의 생리적 측면 / 3. 귀향 제1형식의 문학사적 범주 / 4. 귀향 제2형식의 두 범주 / 5. 귀향 제3형식: 『설봉산』 / 6. 『설봉산』과 혁명적 낙관주의

[최명익론]
1. 평양 중심화 사상과 근대성 / 2. 평양과 ‘단층’파의 모더니즘 / 3. 해방 공간에서의 최명익의 표졍 / 4. 중편 [기계]의 양면성 / 5. 미적 대상으로서의 평양성 / 6. 모더니즘 기법과 작가의 오만함

[박태원론]
1. 모더니즘적 리얼리즘의 길 / 2. 글쓰기와 역사소설 / 3. 글쓰기에서 ‘소설쓰기’에로 / 4. 『군상』과 [계명산천…』의 관계 / 5. 전주성 입성–기법 과잉의 작위성 / 6. 지킹엔 논쟁을 요하는 제3부

[황건론]
1. 『싹트는 대지』와 만선일보 주변의 문인들 / 2. 만주국 조선족 지식인의 자의식: [제화] / 3. 작가와 정치가의 분기점: [깃발]의 의미 / 4. 심리적 갈등의 극복 과정: 6·25 체험 / 5. 정치와 문학의 일원론: 실천의 한 의미

작가 소개

김윤식 지음

1936년 경남 진영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현대문학』을 통해 비평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979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1년 11월부터 명예교수를 지냈다. 2018년 10월 작고하였다.

지은 책으로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한국문학사』(공저)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국 현대 현실주의 소설 연구』 『한국소설사』(공저)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해방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문학사의 새 영역』 등의 문학사 및 문학이론 연구서와 『이광수와 그의 시대』(전 3권) 『김동인 연구』 『이상 연구』 『임화 연구』 『김동리와 그의 시대』 『백철 연구』 등의 개별 작가론, 『오늘의 작가, 오늘의 작품』 『비평가의 사계』 『현장에서 읽은 우리 소설』 등의 현장비평서와 『김윤식 선집』(전 7권) 등이 있다. 1973년 현대문학 신인상(평론 부문), 1987년 한국문학 작가상과 대한민국문학상(평론 부문), 1990년 김환태평론문학상, 1991년 팔봉비평문학상, 1994년 요산문학상, 2002년 대산문학상(평론 부문), 2003년 만해대상(학술 부문), 2008년 청마문학상, 2011년 수당상(인문사회 부문), 2014년 이승휴문화상(문학 부문)과 민세상(학술연구 부문) 등을 수상했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1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