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김현문학전집13)

김현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1993년 6월 27일 | ISBN 9788932006338

사양 양장 · 신국판 152x225mm · 493쪽 | 가격 33,000원

책소개

이 책은 20대에서 30대에 이르는 젊은 김현이 문학과 예술과 문화, 그리고 현실 전반에 대한 사유의 폭넓은 전개와 성숙의 과정을 보여준다.

목차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에 대하여

김현 예술 기행

머리말

Ⅰ. 광대의 옷을 빌어 입고

인간과 종교와 문화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Ⅱ. 미술 기행

가우디
피카소
고 야
브뤼겔
고 흐
드 가
앙리 루소
자코메티
로 댕
만화도 예술인가

Ⅲ. 문학 기행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반고비 나그네 길에

촉각이 도해(圖解)한 정경
묘지 순례
이솝의 신 포도
   브뤼셀/암스테르담/동전
동 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문장 수업
사과 다섯 알
시 외우기
즐거운 고통
헤르만 헤세
앙드레 말로의 죽음
작 가
   작가와 질병/작가와 여인/작가와 오류
   작가와 각성
여유 있는 생존

한글 논의에 대하여
문화인과 통일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환상과 현실
문화의 코미디
끝나지 않은 싸움
공해소설의 문제
작가와 작품과 상
도시인의 상상력
상업주의를 막는 둑

고은의 전설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루오의 광대: 황동규
박상륭이란 놈
내부의 간극: 오승재
아픔 그리고 아픔: 오규원
대립과 지양: 김형영
말의 몽상가: 강호무
못다 핀 문학적 재질: 백승룡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젊은 세대의 문학
『제7병동』과 자유
월평에 대해 말한다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시는 과연 죽었는가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대중 문화 속의 문학
만화는 문학이다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 박수동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책 뒤에

반고비 나그네 길에

이상(李箱)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중세 지성과 권력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기대와 죽음
마르그리트 뒤라스
르 클레지오
시를 어떻게 읽은 것인가
몇 개의 시 읽기
바리에테
   1974년의 프랑스 문학상/몰락인가 변모인가/
   성은 어디까지 해방될 수 있는가/현대 사회와 새로운
   예술의 대두/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대중예술의 존재하는가

무엇을 위한 예륜(藝倫)이냐
토속성과 세계성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어문 정책에 대하여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연애 연습사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불빛이 말하는 이유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새로운 한국의 여상(女像)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단장들
   주간지 시비/발레리의 단장/디노 부자티의 혹/
   지리학자들/번역과 우리말/언어 매장과 엄살/
   이오네스코의 무소/문체 연습/풍자

원문 출처

김현 전집

한국 문학의 위상/문학사회학(김현전집1)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전집2)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김현전집3)
문학과 유토피아: 공감의 비평(김현전집4)
책읽기의 괴로움/살아 있는 시들(김현전집5)
젊은 시인들의 상상 세계/말들의 풍경(김현전집6)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김현전집7)
프랑스 비평사(근대 / 현대편) (김현전집8)
행복의 시학/제강의 꿈(김현전집9)
폭력의 구조/시칠리아의 암소(김현전집10)
현대 비평의 양상(김현전집11)
존재와 언어/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김현전집12)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김현전집14)
행복한 책읽기/문학 단평 모음(김현전집15)
자료집(김현전집16)

작가 소개

김현 지음

김현(본명 김광남金光南, 1942~1990)은 1942년 전남 진도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 되던 해에 부모님을 따라 목포로 이주, 목포 북교국민학교와 목포중학교, 그리고 서울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 문리대 및 동 대학원 불문과를 졸업했으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 유학했으며 작고하기까지 서울대 인문대 불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62년 『자유문학自由文學』 3월호에 「나르시스 시론詩論」을 필명 ‘김현’으로 발표하며 공식적인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김승옥, 김치수, 최하림과 함께 소설 동인지 『산문시대』를, 1966년에 황동규, 박이도, 김화영, 김주연, 정현종과 더불어 시 전문지 『사계』를 창간했다. 이 두 잡지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1968년에 창간된 『68문학』은 고스란히 1970년 가을에 창간호를 낸 계간 『문학과지성』의 원형을 이룬다.

그는 불물학자로서 『프랑스 비평사』 2권과 『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 『바슐라르 연구硏究』 등 많은 연구서와 번역서를 펴냈으며, 문학평론가로서 『상상력과 인간』 『사회와 윤리』 『한국 문학의 위상』 『문학과 유토피아』 『말들의 풍경』 및 『한국문학사』의 비평집과 연구서를 상자했다.

『분석과 해석』으로 제1회 팔봉비평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행복한 책읽기』의 원고를 유고로 남긴 채 1990년 6월 27일 48세로 작고했다.

그의 사후 3년 뒤인 1993년에 『김현 문학전집』(문학과지성사, 전16권)이 간행되어 김현 문학의 거대한 덩어리에 접근하는 가장 충실한 자료가 갖춰졌다. 이어 2000년 4월에 원주 〈토지문학관〉에서 그의 10주기 기념 문학 심포지엄(‘4.19 이후의 한국 문학 비평’)이, 2010년 6월에 서울 동교동 〈문지문화원 사이〉에서 20주기 기념 문학 심포지엄(‘말들의 풍경’과 비평의 심연)이 각각 개최되었다. 2011년에 그의 정신적 뿌리에 해당하는 목포에 문학관(김현관)이 개원했고, 2015년 9월에는 서울 동숭동 〈예술가의 집〉에서 그의 25주기를 기념한 심포지엄(‘김현 비평의 역동성’) 개최와 더불어 문학상 ‘김현문학패’가 제정․시행되었다.

<

"김현"의 다른 책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