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넘어서

김주연 평론집

김주연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1987년 3월 11일 | ISBN 2002194002349

사양 신국판 152x225mm · 304쪽 | 가격 3,800원

책소개

세속화의 현대 사회 속에서 초월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구원의 길을 모색하며 우리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발견하려는 저자의 진지하고 집요한 정신의 궤적이 담겨 있다.

목차

책머리에


산업화와 문화 충격 / 문화산업 시대의 의미 / 문학과 공중의 딜레마 / 문명 비판과 역사 비판 / 쇠붙이 시대의 삶 / 농촌 소설과 농민 문학


80년대 시정신은 무엇인가 / 신비의 형이상학 / 현실, 시 그리고 초월 / 부끄러움·사랑·의지 / 보편성의 위기와 소설 / 말의 순결, 그 파탄과 회복 / 천재의 한계 / 샤머니즘과 한국 정신


한국 문학, 왜 감동이 약한가 / 문학적 감동과 신성 / 왜 기독교 문학인가 / 한국 현대시와 기독교 / 제의와 화해 / 구원과 소설 / 공동체 정신과 사랑 / 사랑의 문화를 위하여

작가 소개

김주연 지음

김주연은 194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대학과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독문학을 연구했다. 1965년부터 문학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문학과지성』 편집 동인으로 활약했다. 주요 저서로 『상황과 인간』 『문학비평론』 『변동 사회와 작가』 『새로운 꿈을 위하여』 『문학을 넘어서』 『문학과 정신의 힘』 『문학, 그 영원한 모순과 더불어』 『사랑과 권력』 『가짜의 진실, 그 환상』 『디지털 욕망과 문학의 현혹』 『근대 논의 이후의 문학』 『미니멀 투어 스토리 만들기』 『문학, 영상을 만나다』 『사라진 낭만의 아이러니』 등의 문학평론집과 『고트프리트 벤 연구』 『독일시인론』 『독일문학의 본질』 『독일 비평사』 등의 독문학 연구서를 펴냈다. 한국독어독문학회 학회장, 한국문학번역원장(2009~2011)을 역임했다. 30여 년간 숙명여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석좌교수를 지내기도 했다(2011~2013). 김환태 평론문학상(1990), 우경문화저술상(1991), 팔봉비평문학상(1995) 등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2004)을 수훈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9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