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진적인 실험 작품들을 통해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상처를 역설적으로 보여준 30년대의 천재 이상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 논문들과 주요 작품 산문 들이 실려 있다.
Ⅰ. 이상, 현대열과 작품의 실제
Ⅱ. 작가·작품론
고 이상의 예술 / 부정과 생성 / [날개]의 시학적 재비판 / 날개를 잃은 증인 / 시문화의 의미와 한계
Ⅲ. 이상 문학의 자료
날개 / 지주회시 / 봉별기 / 조감도 / 작가의 호소 / 문학과 정치
연보
작품 연보
참고 서지
필자 소개
김용직 엮음
1932년 경북 안동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수도여고 교사와 단국대 강사를 거쳐 서울대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도남국문학상, 현대문학상(평론 부문), 대한민국 문학상(평론 부문), 3·1문화상(학술 부문)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 연구』 『한국 근대 문학의 사적 이해』 『문예 비평 용어 사전』 『한국 근대 문학 논고』 『한국 근대시사』(전2권),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 『한국 현대시사』(전2권), 『현대시 원론』 『임화 문학 연구』 『현대 경향시 해석/비평』 『한국 현대 문학의 사적 심삭(深索)』 『정명(正名)의 미학』 『한국 문학의 흐름』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