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최승호의 신작 시집 『방부제가 썩는 나라』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됐다. 최승호는 1977년 등단 이래 셀 수 없이 많은 시들을 쏟아내며, 마치 온몸을 시에 부딪치는 듯한 강렬한 시적 상상력을 보였다. 사물을 느껴지는 그대로 포착해내는 직관력을 바탕으로 시인은 현대 문명의 화려한 껍데기 아래 썩어가는 사회의 단면을 들추어내면서 죽음을 향하는 육체로서의 인간을 노래하는 시들을 써왔다. 신작 시집 『방부제가 썩는 나라』에는 총 105편의 시편이 실렸으며, 사회의 폐부를 찌르는 강한 비판 의식을 비롯해 특유의 위트 있는 시어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악마의 배설물로 가득한 사회,
그곳에 화두를 던지는 시인의 외침!
최승호의 시 세계에서 이곳은 “방부제도 썩는 나라”다. 여기서 썩지 않는 것은 오로지 하나, “뻔뻔한 얼굴”(「방부제가 썩는 나라」)뿐. 또한 이 나라는 악마의 배설물, 즉 돈! 오로지 돈으로 가득 찬 곳이며, 악마의 배설물들이 넘쳐흐르는 곳, “황금구더기 우글거리는 똥바다”(「악마의 배설물」)이다.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자본주의를 향한 강한 믿음에 취해 모든 것이 부패해버린 곳, 최승호의 “방부제도 썩는 나라”는 바로 우리가 발 디디고 있는 이 세계의 다른 이름일 것이다.
먹고 번식하라
종족을 번식시키며 먹어라
그것밖에 너희들은 존재할 이유가 없다
―「괌 과일박쥐 튀김 요리」 부분노랑부리저어새의 긴 입으로
나는 말하겠습니다
시화 갯벌에서는 우리 모두가 무력하게 죽었지만
새만금에서는 우리의 숨결이
거대한 관을 깨뜨릴 것입니다―「말 못 하는 것들의 이름으로」 부분
방부제도 썩는 나라에서 우리가 살아갈 이유는 “먹고 번식하”는 일뿐이다. 스스로에 대한 기억이 없는 “여든 살 로봇처럼”, 자기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채 “고철 무덤으로 걸어가는 로봇처럼”(「내 몸에서 내가 모르는 일들이 일어난다」), 최승호의 시 세계에서 인간은 그저 생존을 위한 활동에만 목을 매는 고철 덩어리 혹은 고깃덩어리이다.
때문에 최승호는 인간으로서의 ‘나’가 아닌 다른 타자/생명체에게로 시선을 돌린다. 이 시집에서 “나”로 지칭되는 화자는 대개 인간으로서의 “나”가 아니라 인간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위치에 놓인 다른 생명체로 드러난다. 새만금 사업으로 죽을 날만을 기다리는 “갯가재, 가시닻해삼, 달랑게……” 등의 이름 뒤에서 나는 “시화 갯벌에서 죽은 민챙이의 입으로” 말한다. 나는 “노랑부리저어새의 긴 입으로” 말한다. 자연을 훼손하는 새만금은 “세계 최대의 관”이라고, 그곳에 머물던 자연을 죽이는 일이라고 말이다. 최승호 시에서 자연의 생명체는 시인의 입을 빌려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그리고 그들이 시인의 입을 통해 스스로 목소리를 가질 때 “거대한 관을 깨뜨릴” 가능성이 생길 수 있음을, 자연의 숨결이 똥으로 가득 찬 인간 세상에 다른 미래를 가져다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 시집 속으로
파리의 생각은
온통 부패뿐이다
내 생각도 온통 부패뿐이다얼마나 힘껏 파리를 내리쳤는지
파리채가 부러졌다
―「파리채」 부분쥐뿔모자를 써도 아무것도 아닌 것들
개뿔모자를 써도 아무것도 아닌 것들정말 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상처받고
피 흘리다 보면 어느덧 노인노인은 지하철을
공짜로 탄다
―「우리는 쥐뿔들에게 상처받는다」 부분
■ 뒤표지 글
그동안 시는 나의 돛이자 덫이었다. 시가 부풀어 나를 설레게 했고 사해를 항해하게 했으며 닻 내릴 곳은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그리하여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글쓰기가 가능하도록 일깨워주었다. 그러나 때로 시는 나를 괴롭혔다. 버리기 싫은 덫처럼 말이다. _「시작 노트」
■ 시인의 말
시가 시시한 시대일수록
시시하지 않은 시를 써야 한다.
2018년 여름 서울에서
최승호
시인의 말
I
대파 /얼어 죽을 무소유 /죽어봤자 고깃덩어리 /내 죽음에 바코드를 붙이지 마라 /국가가 유령을 책임져야 한다 /방부제가 썩는 나라 /파리채 /큰빗이끼벌레는 그놈의 아바타다 /대운하 /악마의 배설물 /변기트럭 /먹는 일밖에 일이 없는 일요일 /멍 때리기 대회 /백수는 과로사한다 /불로장생법 /커튼콜 /두 개의 혀 /굴비가 강연을 한다 /우리는 쥐뿔들에게 상처받는다 /복수심이 강한 노새 /월식 /머리 잘린 개구리 /스테이크 위의 정육점 /나와 나타샤와 당나귀 식당 /외눈박이 동물원 /캥거루에게 두들겨 맞아 턱뼈가 부러진 캥거루 사냥꾼에게 보내는 편지 /모든 낚시는 사기다 /내 몸에서 내가 모르는 일이 일어난다 /괌 과일박쥐 튀김 요리 /복부 비만 /절망은 제 얼굴을 안 보려고 술에 머리를 처박는다 /재벌 4세는 모르리라 /콧방귀 /타조털 먼지털이개 /공겁회귀 /유리창떠들썩팔랑나비 /나는 밥도둑이다 /개망초꽃
II
말죽거리 주유소에 고독이 찾아온다 /큰개자리 별의 개죽음 /큰개자리 별에서 무슨 메아리가 돌아오나 /어두운 죽음의 마을 /송장헤엄치게의 황금빛 눈알 /내 눈에 지느러미를 다오 /말 못 하는 것들의 이름으로 /겨울은 시베리아 횡단열차보다 길다 /봄밤 /골초 /폭죽 소리 /우리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생애 /캥거루족 /쥐코밥상 앞에 앉은 생쥐들처럼 /황혼 이혼 /며느리의 이름으로 /중대가리풀의 괴로움 /꽃나무 /구석 /꼬막 /마지막 코뿔소 /슬픈 진화 /두 접시에 나눌 수 없는 외로움 /치과 의사가 세상에 없다 /아픈 개미가 있다 /불가촉천민 /엽낭게의 사생활 /종이접기가 끝났다 /지중해 난민선 /일곱 살 염전 노예 /다슬기해장국집에서 /마침표 /도마 /손을 잡지 않는 펭귄 공동체 /그 마을을 일찍 떠났어야 했다 /그로테스크한 동굴 속의 흰 지네
III
복면가왕 /사막의 목소리 /누란樓蘭 왕국 /확실한 것은 없다 /허공을 걸어 다니는 구두 /하루로 가는 길 /이를 악물고 달리는 노인 /걸어도 발자국은 없는 것 /로봇걸음을 걷다 /이백의 백발 /흰긴수염고래의 노래 /쥐라기 해안 /노래가 되지 못한 노래기 /미세먼지 주의보 /돌들의 시간 /죽은 시간의 악령 /꼬리 없는 시간 /흐린 날의 장례식 /귀머거리 마이산 /부도밭 /절대로 변하지 않는 것 /우리는 이름 뒤로 사라진다 /황산벌에서 /바람의 노트 /버마 비단뱀 가죽 가방 /비누 /분화구 /별들을 풀어줄 때 /붕鵬새의 새장 /추운 날 /흰올빼미의 본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