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안에서 세계를 발견하는 비평가,
작품 안에서 역사를 인식하는 비평가”
문학의 우정, 우정의 문학을 증명해온 문학평론가 김치수,
그와 함께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
계간 『문학과지성』을 창간하고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를 세우는 데 참여한 불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김치수 선생(1940~2014)이 타계한 지 2년이 되었다. 문학과지성사는 임종 이후 〈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를 결성해 그의 문학적 성과에 대해 논의하여 불문학 연구서와 번역서를 제외한 문학사회학과 구조주의, 누보로망 등을 바탕으로 한 문학이론서와 비평적 성찰의 평론집을 선별해 10권의 문학전집 간행을 진행하였다. 2016년 12월 30일, 〈김치수 문학전집〉 완간 소식을 통해 한국 문학과 한국 작가의 오랜 친구였던 ‘김치수’의 빛나는 흔적을 되새기려 한다. 착한 기업 오뚜기의 후원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 작업은 한 시대를 정리하는 일과 동시에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이 될 것이다.
여기 한 비평가가 있다. 김치수(1940~2014)는 문학 이론과 실제 비평, 외국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의 아름다운 소통을 이루어낸 비평가였다. 그는 ‘문학사회학’과 ‘구조주의’와 ‘누보로망’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한국 문학 텍스트의 깊이 속에서 공감의 비평을 일구어내었다. 김치수의 사유는 입장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입장의 조건과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었으며, 비평이 타자의 정신과 삶을 이해하려는 대화적 움직임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그의 문학적 여정은 텍스트의 숨은 욕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으로부터, 텍스트와 사회 구조의 대응을 읽어내고 당대의 문제에 개입하는 데 이르고 있다. 그의 비평은 ‘문학’과 ‘지성’의 상호 연관에 바탕 한 인문적 성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실에 대한 비평적 실천을 도모한 4·19세대의 문학정신이 갖는 현재성을 증거 한다. 그는 권력의 폭력과 역사의 배반보다 더 깊고 끈질긴 문학의 힘을 믿었던 비평가였다.
이제 김치수의 비평을 우리가 다시 돌아보는 것은 한국 문학 평의 한 시대를 정리하는 작업이 아니라,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이다. 그가 남겨 놓은 글들을 다시 읽고 김치수 문학전집(전 10권)으로 묶고 펴내는 일을 시작하는 것은 내일의 한국 문학을 위한 우리의 가슴 벅찬 의무이다. _〈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
1950~1960년대 프랑스 소설에 새로운 반성을 가져온 ‘누보로망’이 20세기 문명의 중요한 현상이라는 것을 인식한 다섯 연구자 김치수·고광단·권은미·송기정·유효숙의 노력으로 탄생한 이 책은 누보로망의 기원에서부터 전개 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누보로망의 세계와 기법, 그리고 그 운동을 주도한 작가들의 개인별 소설 세계를 통일적인 관점에서 구명하고 있다. 사무엘 베케트·미셸 뷔토르·마르그리트 뒤라스·클로드 올리에·로베르 펭제·장 리카르두·알랭 로브그리예·나탈리 사로트·클로드 시몽 등으로 열거되고 있는 누보로망 문학은 “20세기 문학이 갈 수 있는 경계선까지 간 문학이다. 그것은 21세기의 문학이 인간 중심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 자연과 하나 되게 하는 문학이어야 한다는 것을 철저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누보로망은 20세기 문학의 마지막 결산이면서 21세기 문학의 새로운 출발점에 있는 문학이다.” 이 연구의 기록은 현대 문학 나아가 미래의 문학을 탐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다.
4·19세대로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한 한국 문학 비평가인 김치수에게 누보로망은 어떤 것이 었을까? 어마어마한 횡단적 상상력이 개입되어 있는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누보로망이란 무엇 인가? 역사인가, 사건인가? 어쩌면 그것은 역사가 되기를 거부한 사건, 그리고 이 거부를 통해 역사를 새로 쓰고자 했던 사건, 아니 사건들이 아닐까? 도도한 대하(大河)로 합류되기를 스스로 거부한 지류(支流)들의 심상찮은 외침들. 한목소리가 아니었음에도 그 반향은 크고, 한 대오를 이루지 못했음에도 그 족적은 깊고 선명하다. 이런 의미에서 누보로망은 없다. 누보로망 들이 있을 뿐. 그토록 누보로망 작가들 개개인에게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프랑스라는 역사와 시대와 사회는 쉽게 통분되지 않는 다양하고도 깊은 성찰과 실천을 요구하는 도전이었다. 도전과 개척으로서의 다양한 문학적 실천들, 이것이 누보로망이 지니는 의미의 요체라면, 김치수가 대결하지 않을 수 없었던 누보로망 문제의식의 진앙과 아비투스 또한 이 언저리에 놓여 있었으리라. 번역을 거부하는 누보로망들을 상대로 그 정신을 포착하여 전파하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그래도 그것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작업이었다면 아마 그 이유는 불가해의 장벽을 뛰어넘는 정신의 충격, 그리고 이 충격에서 솟구치는 치열한 의식과의 만남에 대한 기대 때문이었으리라. 그 불가해함은 문학적 난해성이 아니라 세계와 사회와 인간에 대한 혁신적 이해의 어려움에서 오는 것이었고, 이를 형상화, 서사화할 수 있는 언어 형식을 도야하는 창조의 지난함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누보로망은 예리한 창검의 의지로 이 어려움에 도전했고 성취해냈다. 여기서 누보로망은 다시 사건의 일회성에서 벗어나 보편 역사의 한 장으로 자리매김된다. 새 세상을 열어갈 새 정신을 담는 새 그릇으로서의 새 문학의 요청이 제기될 때 누보로망은 언제 어디서라도 ‘지금 여기’의 문학으로 귀환한다. 누보로망이 명칭 그대로 언제나 새로운 이유 역시 바로 이것이다. _권오룡(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