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안에서 세계를 발견하는 비평가,
작품 안에서 역사를 인식하는 비평가”
문학의 우정, 우정의 문학을 증명해온 문학평론가 김치수,
그와 함께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
계간 『문학과지성』을 창간하고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를 세우는 데 참여한 불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김치수 선생(1940~2014)이 타계한 지 2년이 되었다. 문학과지성사는 임종 이후 〈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를 결성해 그의 문학적 성과에 대해 논의하여 불문학 연구서와 번역서를 제외한 문학사회학과 구조주의, 누보로망 등을 바탕으로 한 문학이론서와 비평적 성찰의 평론집을 선별해 10권의 문학전집 간행을 진행하였다. 2016년 12월 30일, 〈김치수 문학전집〉 완간 소식을 통해 한국 문학과 한국 작가의 오랜 친구였던 ‘김치수’의 빛나는 흔적을 되새기려 한다. 착한 기업 오뚜기의 후원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 작업은 한 시대를 정리하는 일과 동시에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이 될 것이다.
여기 한 비평가가 있다. 김치수(1940~2014)는 문학 이론과 실제 비평, 외국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의 아름다운 소통을 이루어낸 비평가였다. 그는 ‘문학사회학’과 ‘구조주의’와 ‘누보로망’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한국 문학 텍스트의 깊이 속에서 공감의 비평을 일구어내었다. 김치수의 사유는 입장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입장의 조건과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었으며, 비평이 타자의 정신과 삶을 이해하려는 대화적 움직임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그의 문학적 여정은 텍스트의 숨은 욕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으로부터, 텍스트와 사회 구조의 대응을 읽어내고 당대의 문제에 개입하는 데 이르고 있다. 그의 비평은 ‘문학’과 ‘지성’의 상호 연관에 바탕 한 인문적 성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실에 대한 비평적 실천을 도모한 4·19세대의 문학정신이 갖는 현재성을 증거 한다. 그는 권력의 폭력과 역사의 배반보다 더 깊고 끈질긴 문학의 힘을 믿었던 비평가였다.
이제 김치수의 비평을 우리가 다시 돌아보는 것은 한국 문학 평의 한 시대를 정리하는 작업이 아니라,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이다. 그가 남겨 놓은 글들을 다시 읽고 김치수 문학전집(전 10권)으로 묶고 펴내는 일을 시작하는 것은 내일의 한국 문학을 위한 우리의 가슴 벅찬 의무이다. _〈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
삶과 소설이 모두 과제였던 비평가에게 20세기를 지나 21세기를 살아가며 체감하는 삶의 고통과 두려움은 존재의 고통과 두려움과 동일했을 것이다. 평론가는 그런 존재의 두려움을 함께 앓는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통해 “삶은 ‘허상’일 수 있어도 소설은 ‘진실’ 그 자체”임을 깨닫는다. ‘개인과 역사’가 만들어내는 소설을 통한 ‘구도의 세계’가 ‘역사의 몸살’ 속에서 ‘소설의 무게’를 실감하게 하는 글들이 이 책 안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2000년에 발간된 『삶의 허상과 소설의 진실』은 인터넷이나 디지털, 영상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급변한 20세기와 21세가 문학의 결절점에서 김치수 문학 비평이 보여준 응전의 궤적이다. 수록된 평문들의 제목이나 실제 내용에서 개인과 역사, 예술성과 현실성, 외출과 귀환, 감춤과 드러냄, 저항과 순응, 남성과 여성, 파괴와 창조 등 서로 대립적이면서도 상보적인 개념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두 극단 사이를 오가는 탄력을 통해 시대의 변화와 문학의 본질을 동시에 끌어안으려는 비평 의지에서 연유한다. 일찍이 20세기 초 발레리가 선언한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라는 명제를 21세기 초 한국 작가 김영하가 ‘바람이 분다. 게임을 한다’와 연결시킨 바로 그 위치가 이 책의 격전지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이 책에서 다루는 문학은 움직이면서도 굳건하고, 새로우면서도 친숙하다. 이토록 현실적이면서도 본질적인 문학의 가치를 동시에 중시하는 비평가에게 21세기의 삶은 ‘허상’일 수 있어도 21세기의 소설은 ‘진실’ 그 자체이다. 허상임을 피할 수 없다면 진실에 더욱더 의지해야 한다는 전언이기도 하다. 이 도저한 소설의 운명이 비평가 김치수를 20세기 최전방과 21세기의 한복판을 횡단하게 한다. 문학은 당연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만들어가야 하는 것임을 강조하기에 김치수의 비평은 늘 동시대라는 최적(最適)의 온도를 유지한다. 한 번은 쉽지만 계속되기는 어려운 그 경지를 이 책은 현재진행형으로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