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배처럼 텅 비어

문학과지성 시인선 485

최승자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2016년 6월 16일 | ISBN 9788932028712

사양 변형판 128x205 · 124쪽 | 가격 12,000원

수상/추천: 편운문학상

책소개

병들고 아픈 시대에 대한 혹독한 예감

살아 있음에 대한 이토록 치열한 존재 증명

 

최승자. 삶과 사랑, 그리고 죽음을 누구보다 치열하고 독한 언어로 품어내며 우리들의 한 시대를 순식간에 잠식했던 80, 90년대에도, 쇠약해진 육체의 감각에 박힌 어떤 체험들을 “뼈만 남은 이 가난한 언어”(황현산)로 말해온 2000년 이후에도 여전히 변함없는 우리들의 시인. 그의 근황을 담은 시집 『빈 배처럼 텅 비어』(문학과지성사, 2016)가 출간됐다. 오랜 침묵을 깨고 11년 만에 선보였던 『쓸쓸해서 머나먼』(2010)과 대산문학상, 지리산문학상을 연이어 수상하며 묶어낸 『물 위에 씌어진』(2011)에 이은 여덟번째 시집이다. 매번 결코 벗어날 수 없는 ‘나’라는 ‘빈 감방’에서 그럼에도 탈출하려 안간힘을 써온 그의 일기가 92편의 시로 묶였다. “병든 세계에서 병이 들어 하릴없이 살아 있는 자가, 살아 있는 것인지 아닌지 알기 쉽지 않은 자가 여전히 시를 써서 생존을 증명하고 있다. 살아 있기 때문에 가까스로 새로이 시를 쓴다.”(김소연)

 

나의 생존 증명서는 詩였고

詩 이전에 절대 고독이었다

고독이 없었더라면 나는 살 수 없었을 것이다 (「나의 생존 증명서는」 부분)

 

살았능가 살았능가

벽을 두드리는 소리

대답하라는 소리

살았능가 죽었능가

죽지도 않고 살아 있지도 않고

벽을 두드리는 소리만

대답하라는 소리만

살았능가 살았능가

 

삶은 무지근한 잠

오늘도 하늘의 시계는

흘러가지 않고 있네 (「살았능가 살았능가」 전문)

 

먹먹하고도 멍멍한, 잿빛 구름처럼 자욱하고 그을린 시간 속에서, “내 생애에 한 音”(「玄同」)을 더하듯 쉼 없이 흘러가는 부운몽을 응시하는 이번 시들 역시, “가장 가벼운 육체로, 가장 잘 활용된 감각으로, 인색하게 허락되는 언어로, 간명한 사상으로, 경제적으로 그러나 확실하게 사용되는 시적 선회로, 우리 시대에 가장 투명한 말의 거울”(황현산)의 맥락에서 읽힐 만하다.

 

虛 위에서 춤추는 有의 아름다움 (「虛 위에서 춤추는」 부분)

 

우리는 쩍 벌리고 있는 아구통이 아니다

우리는 人도 아니고 間도 아니다

우리는 별다른 유감과 私感을

갖고 사는 천사들일 뿐이다

우리가 천사처럼 보이지 않는 것은

세상 환영에 속아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전문)

 

얼마나 오랫동안

세상과 떨어져 살아왔나

“보고 싶다”라는 말이 있다는 것을

오늘 처음 깨달았다

(아으 비려라/이 날것들의 生) (「얼마나 오랫동안」 전문)

 

나는 육십 년간 죽어 있는 세계만 바라보았다

이젠 살아 있는 세계를 보고 싶다

사랑 찌개백반인 삶이여 세계여 (「나는 육십 년간」 부분)

 

발문에서 시인 김소연은 “진실의 추한 모습을 드러낸 용기와 순수에만 가치를 둘 수는 없다. 발설된 추의 세계와 발설하는 자의 용감하고 아름다운 태도, 이 둘의 ‘격차’가 주는 충격이 최승자 시의 진짜 가치이기 때문이다. 이 격차에 관해서라면, 이 시집도 여전한 가치를 지닌다. 지독하고 치열했던 열기가 사라진 자리에 표표하고 괴이한 권태가 자리 잡은 것이 다를 뿐”이라고 말한다. 또한 지금껏 ‘부정 혹은 비극의 시학’으로 읽혀온 최승자의 시세계는 그 부정과 비극, 비천함과 추함과 독함이 작동하게 된 근본적 이유를 다시 묻고, 다시 읽혀야 한다고 거듭 말한다.

 

그게 우리의 삶이라는 거지. 죽음은 시시한 것이야.

왜냐하면 우린 이미 죽어 있으니까.

―「서역만리」 부분(『내 무덤, 푸르고』, 1993)

 

죽은 하루가 쌓여간다

미(美)도 추(醜)도 각기 몽당연필

인류여 코메디여

하늘의 퉁소 소리는

대지의 퉁소 소리와는 다르다

(나만 빙긋이 웃는다 왜냐하면 미쳤으므로)

―「죽은 하루하루가」 부분(『빈 배처럼 텅 비어』, 2016)

 

1980, 90년대 이후 줄곧 자기부정과 자기모멸과 위악으로 해석돼온 최승자의 시들은 2016년, “갖가지 퇴행을 겪으며 골고루 망가져가는 이 시대에 이르러서야” 너무도 ‘정확한 직시와 예감’으로 우리 의식을 타격한다. 그러기에, 오래도록 이번 시집을 읽어온 김소연의 말들은 저리도록 아프고 또 뜨끔하다. 파국의 파토스가 문학의 귀결점이라는 사실에 그 많은 시인들이 동의해왔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파국의 파토스를 끝까지 수행해온 시인을 우리는 목격해본 적이 없다. 최승자는 끝까지 살아남아, 이 길에서 이탈하지 않은 유일한 시인이 되어 있다. ‘그가 겪은 정신적 위기는 개인적 위기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이 땅의 시가 멀지 않아 감당해야 할 위기이기도’(황현산) 하다는 걸, 우리는 최승자의 곁에서 예감할 수 있다. [……] 최승자만의 혹독한 예감이 리얼리티가 되어 있는 지금, 최승자가 아픈 자라면 우리는 병들었지만 아프지 않은 자(이성복)라고 표현해야 옳지 않을까. 최승자가 혹독한 예감에 시달리는 예민하고 건강한 시인이었고 자신의 상태에 대한 자각이 누구보다 정확했고 지금도 그러하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지금의 우리는 도대체 누구일까.”

(김소연, 발문 우리 시대의 유일무이한 리얼리스트에서)

 

아침이 밝아오니

살아야 할 또 하루가 시큰거린다

“나는 살아 있다”라는 농담

수억 년 해묵은 농담“ (「아침이 밝아오니」 전문)

 

낯가리고 울다 웃는 이 文明의 본성 (「쓸쓸한 文明」 부분)

 

시인은 괄호 치고 중얼거리듯, 이렇게 쓴다. “지나가는 소리를 잘 들으려면/고요해져야 한다/바람의 전언은 쉽게 잡히지 않는다”(「가다 가다가」). 이번 시집의 처음과 끝에 자리한 시 두 편을 찬찬히 곱씹어 읽을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내 손가락들 사이로

내 의식의 층층들 사이로

세계는 빠져나갔다

그러고도 어언 수천 년

 

빈 배처럼 텅 비어

나 돌아갑니다 (「빈 배처럼 텅 비어」 전문)

 

너의 존재를 들키지 마라

그림자가 달아난다

(내 詩는 당분간 허공을 맴돌 것이다) (「내 詩는 당분간, 전문)

 

 

[시인의 말]

한 판 넋두리를 쏟아놓은 기분이다

2016년 6월

최승자

 

 

[뒤표지글]

한 몇 년 군시렁거리는 구름의 말만 들으며

갈 길 못 가고 또다시 흐르기만 하였다

 

어디로 어디로라고 밤바람은 말하지만

고통처럼 행복처럼 기어코 올 그 무엇

그러나 참 더디다

 

하여간에 여하간에

갔다가 왔다. 왔다가 또 가려고 한다

 

하여간에 여하간에

또다시 흐르기로 작정하였다

또다시 이륙하기 위하여

 

떠나자꾸나

너무 무거운 것들은 모두 버리고

너무 무거운 것들은 모두 벗어버리고

목차

시인의 말 7

빈 배처럼 텅 비어 9
하루나 이틀 뒤에 죽음이 오리니 10
살았능가 살았능가 11
나 여기 있으면 12
나는 있지만 13
한 세기를 넘어 14
세계의 끝에서 15
따듯한 풀빵 같은 16
앵앵이노 17
슬픔을 치렁치렁 달고 18
아득히 19
어느 날 나는 20
한 마리의 떠도는 부운몽 21
시간은 흐리멍덩 22
그것이 인류이다 23
죽은 하루하루가 24
어느 봄날 25
당분간 26
마음에 환한 빗물이 27
우연인 양 28
玄同 29
이 세상 속에 30
모든 사람들이 31
미래의 어느 뒤편에선가 32
虛 위에서 춤추는 33
무제 34
나 쓸쓸히 35
세계는 36
그림자 같은 남자 37
내 존재의 빈 감방 38
알았던 사람들만이 39
흰나비 꿈을 40
오늘도 새 한 마리 41
하루 종일 42
과거를 치렁치렁 43
오늘 하루 햇빛 빛나는구나 44
문명은 이젠 45
환갑 46
타임캡슐 속의 47
살다 보면 48
들판에서 보리와 밀이 49
나의 생존 증명서는 50
죽은 시계 51
삶이 후드득 52
詩는 53
육개장은 54
쓸쓸한 文明 55
얼마나 오랫동안 56
또 하루가 지나가고 57
TV를 보면서 58
세상 위 백지에다 59
가봐야 천국이다 60
그 언행도 61
우리는 62
가다 가다가 63
내 정신의 암울한 지도 64
꿈결 65
나는 항상 66
우거지 쌍통 같은 67
존재는 68
내 죽음 이후에도 69
아이는 얼마쯤 커야 할까 70
시시한 잠꼬대 71
이런 詩는 72
죽으면 영원히 73
영화에서 74
우리 조상님들이 75
너는 묻는다 76
꽃들이 파랗더라 77
나의 임시 거처 78
나 79
한 그루의 나무가 80
나는 벽만 바라보고 있구나 81
나는 육십 년간 82
우리가 살고 있는 것이 83
나는 깊은 산중으로 달아난다 84
죽음은 한때 85
그리하여 문득 86
내일의 유리창을 또 누가 닦을 것인가 87
군밤 88
아침이 밝아오니 89
비가 온다 90
오늘 하루 중에 91
부엉이 이야기 92
끓어 넘치는 93
문득 시간이 94
月은 술에 취해 흘러가고 95
또 하루가 열리고 96
숨죽인 깊은 밤 97
슬픔이 새어 나와 98
모국어 99
내 詩는 당분간 100

발문|우리 시대의 유일무이한 리얼리스트/김소연 101

작가 소개

최승자 지음

1952년 충남 연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 독문과에서 수학했다. 1979년 계간 『문학과지성』에 시 「이 時代의 사랑」 외 4편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으로 『이 시대의 사랑』(1981) 『즐거운 日記』(1984) 『기억의 집』(1989) 『내 무덤, 푸르고』(1993) 『연인들』(1999) 『쓸쓸해서 머나먼』(2010) 『물 위에 씌어진』(2011)이 있고, 옮긴 책으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984) 『자살의 연구』(1995) 『자스민』(1997) 『상징의 비밀』(1998) 『굶기의 예술』(1999) 『혼자 산다는 것』(1999) 『빈센트, 빈센트, 빈센트 반 고흐』(2000) 『침묵의 세계』(2001) 『아홉 가지 이야기』(2004) 『워터멜론 슈가에서』(2007) 등이 있다. 제18회 대산문학상(2010), 제5회 지리산문학상(2010)을 수상했다.

독자 리뷰(2)

독자 리뷰 남기기

7 + 2 =

  1. 임효진
    2016.06.30 오후 6:24

    작가의 메일주소를 알 수 있을까요?

    1. 문학과지성사
      2016.07.01 오전 11:23

      저자분 요청으로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