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와 사랑_유고비평집』―〈김치수 문학전집〉10권

김치수 지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2015년 10월 14일 | ISBN 9788932027944

사양 신국판 152x225mm · 241쪽 | 가격 14,000원

책소개

한국 문학의 역사, 한국 문학의 미래

 

문학의 우정, 우정의 문학을 증명해온 문학평론가,

그와 함께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

 

〈김치수 문학전집〉 첫 출간!

 

 

계간 『문학과지성』을 창간하고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를 세우는 데 참여한 불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김치수 선생(1940~2014)이 타계한 지 1년이 되었다. 문학과지성사는 임종 이후 〈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를 결성해 그의 문학적 성과에 대해 논의하여 불문학 연구서와 번역서를 제외한 10권의 문학전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2015년 10월 14일 1주기 추도식을 통해 고인께 우선 두 권의 책을 봉정한다. 완간은 201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 한 비평가가 있다. 김치수(1940~2014)는 문학 이론과 실제 비평, 외국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의 아름다운 소통을 이루어낸 비평가였다. 그는 ‘문학사회학’과 ‘구조주의’와 ‘누보로망’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한국 문학 텍스트의 깊이 속에서 공감의 비평을 일구어내었다. 김치수의 사유는 입장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입장의 조건과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었으며, 비평이 타자의 정신과 삶을 이해하려는 대화적 움직임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그의 문학적 여정은 텍스트의 숨은 욕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으로부터, 텍스트와 사회 구조의 대응을 읽어내고 당대의 문제에 개입하는 데 이르고 있다. 그의 비평은 ‘문학’과 ‘지성’의 상호 연관에 바탕 한 인문적 성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실에 대한 비평적 실천을 도모한 4·19세대의 문학정신이 갖는 현재성을 증거 한다. 그는 권력의 폭력과 역사의 배반보다 더 깊고 끈질긴 문학의 힘을 믿었던 비평가였다.

이제 김치수의 비평을 우리가 다시 돌아보는 것은 한국 문학 평의 한 시대를 정리하는 작업이 아니라,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문하는 일이다. 그가 남겨 놓은 글들을 다시 읽고 그의 1주기에 맞추어 김치수 문학전집(전 10권)으로 묶고 펴내는 일을 시작하는 것은 내일의 한국 문학을 위한 우리의 가슴 벅찬 의무이다. _〈김치수 문학전집〉 간행위원회

 

『화해와 사랑_유고비평집』―〈김치수 문학전집〉10권

 

〈김치수 문학전집〉의 마지막 권인 제10권에 해당하는 이 책은 만년에 그가 남긴 글들 가운데, 비평적 성격의 글들만 모아 정리한 책이다. 전집에 있는 책들이 가지고 역사와는 다르게 초판 발행되는 이 책에는 75년 생애를 관통해온 상황과 역사, 그리고 그의 문학이 성취인 박경리, 이청준, 염상섭, 김승옥, 박완서, 김주영 등의 비평이 그의 문학정신과 함께 되살아나고 있다. “그래서 그것들은 운명적인 삶의 성찰인 동시에 자유를 향한 그의 문학적 의지를 보여주며 이 세계에 존재해왔음을 증거해주는 기억의 표지를 만든다(김병익).”

 

그가 문득 타계한 지 1년, 그때부터 그를 추모하기 위해 시작된 그의 전집 간행에서 수순으로는 맨 끝이지만 출판은 가장 먼저 된 『화해와 사랑』은 달리 책으로 미처 수습되지 못한 글들, 말들과 함께, 그 생전의 마지막 저서인 『상처와 치유』 이후에 씌어진 말년의 유작들을 묶어 정리한 것이다. 그런데 놀랍고 기특하게도, 사후에 간행된 이 책에서 50여 년에 걸친 그의 문학에 대한 자세와 작가에 대한 애정, 작품에 대한 사유가 가장 폭넓게 요약되고 깊이 있게 드러나고 있다. 돌연한 발병으로 투병을 시작하기 전부터 그는 이미 이 세상과의 결별을 예감했던 것일까, 삶의 종말이 깨우쳐준 이 세계의 운명과 그것들에 대한 꼼꼼한 들여다보기를 통해 문학 행위란 것의 근원적인 사태와 그것들을 쓰다듬을 결정적인 시선을, 그는 단정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그의 문학적 성취를 마감할 이 비평 모음에서 그는 그가 가장 존경하는 박경리와 이청준, 그의 문학에 첫걸음으로 다가와준 염상섭과 김승옥, 당대의 현실을 들여다보게 한 박완서와 김주영 그리고 자신의 시대를 만들어준 4·19와 그의 75년 생애를 관통해온 기구한 상황들, 그것들에 대한 천착을 요구해온 역사와 세계들을 다시 끄집어내어, 그 깊이와 넓이를 더듬으며 자신의 문학과 정신세계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그것들의 존재 의미를 가늠하여 그것들이 수행한 몫들을 의미화한다. 그래서 그것들은 운명적인 삶의 성찰인 동시에 자유를 향한 그의 문학적 의지를 보여주며 이 세계에 존재해왔음을 증거해주는 기억의 표지를 만든다. 그리고 그는 마침내 그다운 훤한 웃음을 웃으며 다부진 목소리로 우리에게 따뜻한 권면의 말씀 한마디를 남겨준다: “화해와 사랑을!”

김병익(문학평론가)

목차

김치수 문학전집을 엮으며

Ⅰ 속(續)『박경리와 이청준』
박경리 문학과 전쟁 체험
이청준 문학의 화해와 사랑
가난, 폭력, 죽음에 대한 복수

Ⅱ 상처와 극복
염상섭의 문학 세계
김승옥은 누구인가
『객주』의 현대적 가치
역사적 상처와 문학적 극복
김용만의 소설
오수연의 소설 「벌레」
우화의 시

Ⅲ 문학과 세계
문학작품 속의 한국전쟁
문학과 환경
분석과 해석
세계화와 민족주의
한국 문학의 세계화

IV 대화들
4·19 50년 기념 대담·김치수 & 최인훈
한국 문학의 역동성을 살리는 비평하기·김치수 & 정과리

작가 소개

김치수 지음

1940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불문과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에서 「소설의 구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입선으로 등단, 『산문시대』와 『68문학』『문학과지성』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79년부터 20062월 정년퇴임시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불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명예 교수로 재직하였고, 201410월 작고하였다.

저서로는 『문학의 목소리』 『삶의 허상과 소설의 진실』 『공감의 비평을 위하여』 『문학과 비평의 구조』 『박경리와 이청준』『문학사회학을 위하여』 『한국소설의 공간』 『현대 한국소설의 이론』 등의 평론집과, 『누보 로망 연구』 『표현인문학』 『현대 기호학의 발전』 등의 학술서가 있다. 역서로는 르네 지라르의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마르트 로베르의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알랭 로브그리예의 『누보로망을 위하여』, 미셸 뷔토르의 『새로운 소설을 찾아서』 등이 있다.생전에 현대문학상(1983, 평론 부문)과 팔봉비평문학상(1992), 올해의 예술상(2006, 평론 부문) 등을 수상했다.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