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취

2024

  • 4월 문지 시인선 통권 600호 기념 선집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 간행.
  • 봄 『문학과사회』(통권 제145호) 간행(편집동인: 강동호, 소유정, 이소, 이희우, 조연정, 조효원, 홍성희)
  • 6월 ‘문지 살롱’ 오픈

2023

  • 1월 채석장 그라운드(G) 시리즈 간행(1차분 『토리노 멜랑콜리』외) 간행)
  • 3월 문학과지성사 북클럽 ‘문지기’ 운영 시작
  • 4월 SF 앤솔러지 시리즈 간행 (1호 #얼음)
  • 5월 문학과지성사 공동창립인, 1세대 인권변호사 황인철 30주기 기림비 제막식(대전시 유성구)
  • 6월 서울국제도서전X문지 시인선 여름 리커버(『그 여름의 끝』(이성복),『바다는 잘 있습니다』(이병률),『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박준)) 간행
  • 6월 로버트 단턴,『고양이 대학살』(조한욱 역) 27년 만의 개정판 간행
  • 11월 ‘지구와사람 총서’ 첫 권 『지구법학』 간행(문지×재단법인 지구와사람 기획)

2022

  • 4월 『셰익스피어 전집』(이상섭 옮김, 2016) 디자인, 2022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10 선정
  • 『문학과사회』(통권 제138호) 간행(편집동인: 강동호, 조연정, 조효원, 홍성희)
  • 8월 진은영 시집,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시인선 572) 출간
  • 12월 〈#해시태그_과학〉 시리즈(문학과지성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간행 시작(1차분 『탄소중립』 『미세먼지』)

2021

  • 6월 대산세계문학총서 발간 20주년 특별판 간행(『악의 꽃』(보들레르), 『끝과 시작』(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이십억 광년의 고독』(다니카와 슌타로))
    목포시×문학과지성사 목포문학상 장편소설 선정 및 출간 협약
  • 9월 대산세계문학총서 디자인 리뉴얼
  • 10월 2021 목포문학상(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발간(이숙종, 『보트하우스』)
  • 11월 <시 보다> 간행 시작
    문지문학상에 시 부문 신설 운영(제1회 수상, 시인 백은선)
  • <문지 스펙트럼> 리뉴얼 디자인(디자이너 조슬기), 2021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10 선정

2020

  • 5월 문지문화원 사이 폐원 공고
  • 12월 문지 시인선 디자인 페스티벌(『이 시대의 사랑』(최승자),『혼자 가는 먼 집』(허수경),『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한강),『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이제니))

2019

  • 3월 기형도 30주기 기념 학술심포지엄 ‘신화에서 역사로’(연세대 문과대학 100주년 기념홀). 낭독의 밤 ‘어느 푸른 저녁’(청년문화공간JU 다리 소극장). 시전집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트리뷰트 시집 『어느 푸른 저녁』 간행
  • 6월 문지 아카이브 조성(문지빌딩 6층)
  • 6월 시인 김혜순, 캐나다 그리핀 시문학상 수상 기자 간담회(달개비)
  • 7월 최인훈 1주기 추모 행사(청년문화공간 JU 다리 소극장)
  • 7월 ‘문지 에크리’ 시리즈 발간(김현, 『사라짐, 맺힘』 외 3종)
  • 9월 ‘문지 작가선’ 시리즈 발간(최인훈, 『달과 소년병』 외 4종)
  • 12월 인문 에세이 ‘채석장’ 시리즈 발간(첫 책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알렉산더 클루게 『<자본>에 대한 노트』)

2018

  • 8월 ‘소설 보다’ 시리즈 발간
  • 8월 문지문화협동조합 출범
  • 『문학과사회』(통권 제123호) 간행(편집동인: 김형중, 강동호, 김신식, 조연정, 조효원)
  • 9월 ‘문지 클래식’ 시리즈 발간(첫 책 이문구, 『관촌수필』 외 5종)
  • 11월 ‘문지 스펙트럼’ 리뉴얼 1차분 5종 발간(『모데라토 칸타빌레』 『이별 없는 세대』 『도둑맞은 편지』 『소설처럼』 『새싹 뽑기, 어린짐승 쏘기』)

2017

  • 오규원 10주기 행사(류가헌 전시회 및 낭독회). 첫 시집 『분명한 사건』(1971)을 문지 시인선 R 시리즈로 간행. 오규원 시비 제막식(구로구 개봉동)
  • 『김치수 문학전집』(전 10권) 완간 기념 행사(아만티 호텔)
  • 3월 주일우 대표이사 퇴임, 우찬제 이광호 공동대표이사 취임
  • 7월 이청준 전집(전 34권) 완간 및 기념 표지화 전시회(광화문 복합문화공간 에무)
  • 7월 문지 시인선 500호 발간 기념 시선집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발간
  • 여름 『문학과사회』(통권 제118호) 간행(편집동인: 강동호, 금정연, 김신식, 이경진, 조연정, 조효원, 황예인)
  • 9월 우찬제 대표이사 퇴임, 이광호 대표이사 단독 수행
  • 12월 문학과지성사 노사협의회 출범
  • 12월 오정희 컬렉션(『불의 강』 『유년의 뜰』 『바람의 넋』 『불꽃놀이』 『새』) 발간

2016

  • 3월 『문학과사회』(통권 제113호) 봄호 간행(편집동인: 강동호 금정연 김신식 이경진 조연정 조효원)
  • 9월 『문학과사회』(통권 제115호) 혁신호 간행(본권+하이픈 분권)
  • 『셰익스피어 전집』(이상섭 역) 발간

2015

  • 6월 <마해송 전집>(전 10권) 완간 봉정식(파주출판단지 중앙문화공원 마해송 문학비)
  • 12월 창사 40주년 기념식 ‘회고와 전망’(청년문화공간JU 동교동 니꼴라오홀)
  • 계간 『문학과지성』 ‘1980년 가을⦁제11권 제3호⦁통권 41호’의 복각본(復刻本), 김현 『행복한 책읽기』 개정판, 『한국 문학의 가능성: 문지의 논리 1970-2015』 간행

2014

  • 2월 두산아트센터 space111 시 낭독회 오픈. 이후 문지두산 낭독극장 및 인문강연 격월 정기 개최
  • 3월 김찬호 『모멸감』 간행
  • 5월 서교동 395-2 사옥에서 마포구 잔다리로7길 18 사옥으로 이전
  • 5월 ‘웹진 문지 문학상’을 ‘문지문학상’으로 개편하여 운영

2013

  • 주일우 대표이사 취임
  • 김열규 『이젠 없는 것들』(전 2권. 문지푸른책) 간행
  • 『문학과사회』 가을호 간행. 편집동인으로 조연정, 허윤진 합류

2012

  • 2월 오규원 5주기 낭독의 밤(산울림 소극장)
  • 3월 한병철 『피로 사회』 간행
  • 5월 제6회 한중작가회의 개최(제주도)
  • 8월 베이징도서전 참가(부스 운영)
  • 10월 이청준기념사업회 심포지엄(순천대학교)
  • 11월 문학과지성 시인선 R 시리즈 발간 시작(첫 책 이성복, 『달의 이마에는 물결무늬 자국』 등 총 4종)
  • 11월 『문학과사회』 겨울, 통권 100호 발간(편집동인: 강계숙, 강동호, 김형중, 이수형) 기념 좌담(도전과 응전_ 세기 전환기의 한국 문학) 및 심포지엄 행사(3일~6일. 문지문화원 사이)

2011

  • 3월 김수영 공동 대표이사 퇴임, 홍정선 공동 대표이사가 단독 대표직 수행
  • 제5회 한중작가회의 개최(중국 시안)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 ‘마해송문고’와 유품 기증식
  • 인문지성 네트워크 ‘문지 포럼’ 진행(문지문화원 사이×문학과지성사)
  • 문지 시인선 통권 400호 기념 시선집 『내 생의 중력』(강계숙 홍정선 엮음) 간행

2010

  • 홈페이지 개편, 블로그 및 웹진(‘웹진 문지’) 오픈
  • 2월 『최하림 시전집』 간행
  • 5월 ‘웹진 문지 문학상’ 제정(제1회 이장욱, 「곡란」 수상)
  • 6월 김현 20주기 기념 심포지엄 개최 ‘말들의 풍경과 비평의 심연’(문지문화원 사이)
  • 6월 최인훈 전집 『길에 관한 명상』 간행. 전 13권으로 완간
  • 7월 이청준 2주기 기념, ‘이청준 문학자리’ 개원식(장흥군 회진면 진목리) 이청준 전집 1차분 간행(1권 『병신과 머저리』, 2권 『매잡이』)

2009

  • 3월 시인 기형도 20주기 기념 문집 『정거장에서의 충고―기형도의 삶과 문학』 간행. 기념행사 ‘기형도 시를 읽는 밤’ 개최(마포구 서교동 이리 카페)
  • 6월 ‘파라디그마 총서’ 기획 출간 시작. 제 1권으로 크리스티앙 메츠, 『상상적 기표』 간행
  • 7월 소설가 이청준 선생 1주기 추도식 및 <이청준추모사업회> 발족(동숭동 아르코미술관)

2008

  • 2월 오규원 유고 시집 『두두』 간행. 1주기 추모의 밤 행사(남산 드라마센터 대극장)
  • 4월 아스테릭스 시리즈 전 33권 완간
  • 11월 『최인훈 전집』 개정판(1차분 『광장/구운몽』, 『회색인』, 『서유기』, 『화두』 1.2) 발간 시작 및 기념 심포지엄 개최(문지문화원 사이)
  • 채호기 대표이사 퇴임, 홍정선 김수영 공동대표이사 취임
  • 『문학과사회』 편집위원으로 강계숙 김형중 이수형 합류(편집동인: 김동식, 김태환, 우찬제, 박혜경, 이광호, 최성실)

2007

  • 2월 복합 인문예술 공간 <문지문화원 사이> 개원(마포구 동교동 184-24. 공동대표 이인성·채호기) 개원 기념 문화행사 ‘사이-굿’, 심포지엄 ‘경계/사이, 그리고 창조성’. (www.saii.or.kr)
  • 9월 김애란 소설집 『침이 고인다』 간행
  • 10월 박완서 소설집 『친절한 복희씨』 간행
  • 11월 『한국문학선집』(시, 소설 1 2, 북한문학 전 4권) 출간 및 기자 간담회(서소문)

2006

  • 3월 홍성원 중단편집 『주말여행』(1976년 초판, 2006년 개정판 ‘소설 명작선’ 발행)
  • 6월 정이현 장편소설 『달콤한 나의 도시』 간행

2005

  • 제1회 마해송문학상 시상식 (유영소 지음, 『겨울 해바라기』)
  • 문지 시인선 300호 발간 기념 시선집 『쨍한 사랑 노래』(박혜경 이광호 엮음) 출간
  •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 한국관 참여(‘한국의 책 100’)
  • 창사 30주년 기념 사사 출간 및 기념식 개최(한국일보 송현클럽)

2004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2번지로 사옥 이전
  • <한국문학전집> 기획 발간 시작. 제1권으로 황순원, 『독 짓는 늙은이』외 7권 출간.

2003

  • 2월 『당신들의 천국』 통쇄 100쇄 기념 대담(『문학과사회』)
  • 마해송 문학비 조성(파주출판단지 중앙문화공원)

2002

  • 5월 제1회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시상 (소설: 정이현, 시: 하재연, 비평: 이수형)
  • 2월 『오규원 시전집』 간행

2001

  • 6월 대산세계문학총서 발간 시작. 첫 권 『트리스트럼 샌디』 등 7권 간행
  • 7월 파스칼 키냐르 『은밀한 생』 간행
  • 8월 <아스테릭스> 시리즈 발간 시작. 첫 권 『글래디에이터가 된 아스테릭스』 등 3권 간행
  • 10월 홍승우 만화 <비빔툰> 시리즈 발간 시작

2000

  • 김병익 초대 대표이사 퇴임, 채호기 2대 대표이사 취임
  • 김현 10주기 심포지엄 ‘4.19 이후의 한국 문학비평―그 평가와 전망’ 개최(원주 토지문학관)
  • 『문학과사회』 통권 50호 발행 기념, 문학과지성사가 주목하는 젊은작가들 편 『이상한 가역반응』, 젊은시인들 편 『소리 소문 없이 그것은 왔다』 간행
  • 『문학과사회』 혁신호(통권 제51호) 발행. (편집동인: 김동식, 김태환, 박혜경, 우찬제, 이광호, 정과리, 최성실)
  • 청소년 도서 시리즈 ‘문지푸른책’ 발간 시작(첫 권 전용훈 지음, 『물구나무 과학』)
  • ‘서남동양학자료총서’ 발간 시작(첫 책 민두기 지음, 『신언준 현대 중국 관계 논설선』)
  • 자크 르고프 『연옥의 탄생』 간행

1999

  • 홈페이지 오픈
  • 어린이 도서 시리즈 ‘문지아이들’ 발간 시작(『까보 까보슈』 『할아버지와 마티아』 외)
  • 『정현종 시전집』 『마종기 시전집』 간행
  • 신경숙 장편소설 『기차는 7시에 떠나네』 간행

1998

  • 임철우 『봄날』(전 5권) 완간
  • 『황동규 시전집』 간행
  • 문지 시인선 통권 200호 기념 시선집 『시야 너 아니냐』(성민엽 엮음) 간행
  • 황지우 시집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간행

1997

  • ‘우리문학 깊이 읽기’ 간행 시작. 첫 책 『홍성원 깊이 읽기』(홍정선 엮음)
  • 반년간 『사회와 역사』 간행 시작
  • 제4차 한일문학 심포지엄 개최(경주)

1996

  • 최인훈 『광장/구운몽』,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00쇄 돌파 기념 행사
  • 무크지 『이다』 창간호 발간 (편집위원: 김태동·윤병무·김태환·주일우·김동식·최성실·김재인)
  • ‘문지 스펙트럼’ 간행 시작 (제1영역 한국 문학선, 제2영역 외국 문학선, 제3영역 세계의 산문, 제4영역 문화 마당, 제5영역 우리 시대의 지성, 제6영역 지식의 초점, 제7영역 세계의 고전 사상)
  • 13/21 소설집 시리즈 간행(1차분 문윤근, 이인성, 오정희, 최시한 연작소설)

1995

  • 사무실, 서교동 363-12 무원빌딩 4, 5층으로 이전
  • 한국사회사연구회의 ‘사회사 연구 총서’ 첫 권 『한국 사회사의 이해』(신용하, 박명규, 김필동 엮음) 간행
  • 창사 20주년 기념 행사 개최 및 기념도서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흐름을 읽는다: 1975–1995』출간
  •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 시작. 첫 권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정문길, 최원식, 백영서, 진형준 엮음) 간행
  • ‘문지 소설 명작선’ 간행 시작 최인훈 『광장/구운몽』,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서정인 『강
  • 제3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일본 시마네현 마쓰에에서 개최
  • ‘기호학 연구 총서’ 간행 시작. 첫 권 『문화와 기호』(한국기호학회 엮음) 간행

1993

  • 주식회사로 개편하여 (주)문학과시성사 창립 주주 총회
  • 사무실을 서교동 407-4 현암빌딩 3층으로 이전
  • 제2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제주에서 개최
  • 황지우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간행
  • 신경숙 소설집 『풍금이 있던 자리』 간행

1992

  • 제1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일본 도쿄에서 개최
  • 문학과지성 산문선 간행 시작. 첫 권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김희영 옮김), 김현 『행복한 책읽기』 간행

1990

  • ‘문지 시인선’ 100권 기념 시집 『길이 끝난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김주연 엮음) 간행

1989

  • 김광섭 선생 유족의 기탁을 받아 ‘이산문학상(怡山文學賞)’을 제정하고 운영위원회 구성. 첫 수상자로 백무산(시), 유순하(소설)를 결정하고 9월 제 1회 이산문학상 시상식 개최
  • 사무실을 마포구 서교동 363-12로 이전

1988

  • 계간 『문학과사회』 창간호 발행
  • (편집동인: 권오룡, 성민엽, 임우기, 정과리, 진형준, 홍정선)
  •  『문학과사회』 창간 기념 및 대구매일 창간 42주년 기념 문학 강연회를 대구에서 개최
  • ‘김팔봉 문학 전집’ 기획, 첫 권 간행. 1989년 8월 6권으로 완간

1987

  • 최서해 전집(전 2권) 간행

1986

  • 한국사회사연구회와 제휴, ‘한국사회사연구 논문집’ 간행 시작, 제 1권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민족 문제』 간행. 1997년 제50권 『한국의 사회제도와 사회변동』 발간과 함께 반년간 『사회와 역사』로 개칭

1985

  • ‘우리 세대의 문학’ 동인 ‘문학의 밤’ 개최
  • 창사 10주년 기념행사. 기념도서 『숨은 손가락』 『앵무새의 혀』 『해방 40년: 민족 지성의 회고와 전망』 간행

1984

  • ‘문제와시각’ 기획 발간 시작. 한상진 편 『계급 이론과 계층 이론』 제 1권으로 발행
  • 사무실을 마포구 신수동 445-5 출판단지로 이전
  • 아도르노 『미학이론』 간행

1983

  • ‘우리 시대의 고전’ 시리즈 발간 시작(첫 책 로버트 노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1982

  • 이인성, 이성복, 정과리 동인 편집으로 무크지 『우리 세대의 문학』 연간으로 간행. 제 5호에 『우리 시대의 문학』으로 개제
  • ‘현대의 문학 이론’ 총서 기획 간행 시작. 제 1권 윌리엄즈 『이념과 문학』(이일환 옮김) 간행

1981

  • ‘현대의 지성’ 총서 기획 간행 시작. 제 1권 버거 저 서광선 역 『이단의 시대』 간행

1980

  • 계간 『문학과지성』 창간 10주년 기념호 제작 중 돌연 ‘발행 목적 위반’이란 이유로 등록 취소. 계간 『문학과지성』은 지령 40호로 종간
  • 사무실을 마포구 아현동 618-21로 이전
  • ‘황순원 전집’ 기획, 『늪/기러기』 『나무들 비탈에 서다』 첫 간행. 1985년 3월, 12권으로 완간
  • 이성복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간행

1979

  • 『문학과지성』 창간 9주년 기념 세미나 ‘산업화 사회와 문화’를 주제로 춘천 성심여대에서 개최
  • 김학준, 『러시아 혁명사』 간행

1978

  • 사무실을 종로구 통의동 35-84로 이전
  • ‘문지 시인선’ 기획, 황동규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제 1권으로 간행 시작. ‘젊은 시인선’을 여기에 흡수
  • 정문길, 『소외론 연구』 간행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간행

1977

  • ‘젊은 시인선’ 기획, 윤상규(윤후명), 신대철, 김명인, 장영수 시집 간행. 이듬해 ‘문지 시인선’으로 개편 흡수
  • ‘작가론 총서’ 기획, 첫 책 김현 편 『이광수』 간행

1976

  • 첫 책으로 홍성원 단편집 『주말여행』, 조해일 장편소설 『겨울여자』 간행
  • ‘최인훈 전집’ 기획, 발간 시작. 첫 책 『광장/구운몽』 간행(1979년 8월 완간)
  • ‘오늘의 시론집’ 기획, 김춘수 저 『의미와 무의미』 첫 책 간행

1975

  • 도서출판 문학과지성사 창사(대표 김병익). 사무실은 서울시 종로구 청진동 3-3

1970

  • 계간 『문학과지성』 창간
  • 편집동인 김병익, 김치수, 김현, 김주연(1971년 겨울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