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취

2021

  • 6월. 대산세계문학총서 발간 20주년 특별판 출간
    (『악의 꽃』, 『끝과 시작』, 『이십억 광년의 고독』)
    목포시×문학과지성사 목포문학상 장편소설 선정 및 출간 협약
  • 9월. 대산세계문학총서 디자인 리뉴얼
  • 10월. 2021 목포문학상(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발간(이숙종, 『보트하우스』)
  • 11월. <시 보다> 간행 시작
    문지문학상에 시 부문 신설 운영
    <문지 스펙트럼> 리뉴얼 디자인, 2021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10 선정

2020

  •  12월. 문지 시인선 디자인 페스티벌(최승자, 허수경, 한강, 이제니 시집)

2019

  • 3월. 기형도 30주기 추모 행사(시전집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시인 88명 트리뷰트 시집 『어느 푸른 저녁』 간행)
  • 6월. 문지 아카이브 조성
  • 7월. 최인훈 1주기 추모 행사
  • 7월, 문지 에크리 시리즈 발간
  • 9월. 문지 작가선 시리즈 발간
  • 12월, 인문에세이 채석장 시리즈 발간

2018

  • 8월. 소설 보다 시리즈 발간
  • 8월. 문지문화협동조합 출범
  • 9월 문지 클래식 시리즈 발간
  • 11월 문지 스펙트럼 리뉴얼

2017

  • 3월. 주일우 대표이사 퇴임, 우찬제 이광호 공동대표이사 취임
  • 7월. 이청준 전집(전34권) 완간
  • 7월. 문지 시인선 500호 돌파
  • 9월. 우찬제 대표이사 퇴임, 이광호 대표이사 단독 수행
  • 12월. 문학과지성사 노사협의회 출범
  • 12월, 오정희 컬렉션 출간

2014

  • 5월. 서교동 395-2 사옥에서 마포구 잔다리로7길 18 사옥으로 이전
  • 5월 ‘웹진 문지 문학상’을 ‘문지문학상’으로 개편하여 운영

2013

  • 주일우 대표이사 취임

2011

  • 김수영 공동 대표이사 퇴임, 홍정선 공동 대표이사가 단독 대표직 수행

2010

  • 홈페이지 개편, 블로그 및 웹진 오픈
  • ‘웹진 문지 문학상’ 제정(제1회 이장욱, 「곡란」 수상)

2009

  • 시인 기형도 20주기 문집 『정거장에서의 충고』 간행
  • 소설가 이청준 선생 1주기 추도식 및 성묘
  • ‘파라디그마 총서’ 기획 출간 시작. 제 1권으로 크리스티앙 메츠, 『상상적 기표』간행.

2008

  • 『최인훈 전집』 개정판 출간 시작 및 기념 심포지엄 개최
  • 채호기 대표이사 퇴임, 홍정선, 김수영 공동대표이사 취임

2007

  • 문지문화원 ‘사이’ 개원
  •  『한국문학선집』(시, 소설 1 2, 북한문학 전 4권) 출간

2005

  • 제1회 마해송문학상 시상식 (유영소 『겨울 해바라기』)
  • 문지시인선 300호 발간 기념 시선집 『쨍한 사랑 노래』 출간
  • 창사 30주년 기념 사사 출간 및 기념식 개최(한국일보 송현클럽)

2004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2번지로 사옥 이전
  • <한국문학전집> 기획 발간 시작. 제 1권으로 황순원, 『독 짓는 늙은이』외 7권 출간.

2003

  • 『당신들의 천국』 100쇄 기념 행사

2002

  • 제1회 『문학과사회』신인문학상 시상 (소설: 정이현, 시: 하재연, 비평: 이수형)
  • 『오규원 시전집』 간행

2001

  • 대산세계문학총서 발간 시작. 첫 권 『트리스트럼 샌디』등 7권 간행
  • <아스테릭스> 시리즈 발간 시작

2000

  • 김병익 초대 대표이사 퇴임, 채호기 2대 대표이사 취임
  • 김현 10주기 심포지엄
  • 『문학과사회』 혁신호 발간
  • 청소년 도서 시리즈 ‘문지푸른책’ 발간 시작

1999

  • 홈페이지 오픈
  • 어린이 도서 시리즈 ‘문지아이들’ 발간 시작
  • 『정현종 시전집』, 『마종기 시전집』 간행

1998

  • 임철우 『봄날』(전 5권) 완간
  • 『황동규 시전집』 간행

1997

  • ‘우리문학 깊이 읽기’ 간행 시작
  • 반년간 『사회와 역사』 간행 시작
  • 제4차 한일문학 심포지엄 (경주) 개최

1996

  • 『광장』,『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00쇄 돌파 기념 행사
  • 무크지 『이다』 창간호 발간
  • ‘문지 스펙트럼’ 간행 시작

1995

  • 사무실, 서교동 363-12 무원빌딩 4,5층으로 이전
  • 한국사회사연구회의 ‘사회사 연구 총서’ 첫 권 『한국사회사의 이해』 간행
  • 창사 20주년 기념 행사 개최 및 기념도서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흐름을 읽는다: 1975–1995』출간
  •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 시작. 첫 권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간행
  • 13/21 소설책 간행 시작
  • ‘사회사연구총서’ 간행 시작
  • ‘문지소설명작선’ 간행 시작
  • 제3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일본 시마네현 마쓰에에서 개최
  • ‘기호학 연구총서’ 간행 시작

1993

  • 주식회사로 개편하여 (주)문학과시성사 창립 주주 총회
  • 사무실을 서교동 407-4 현암빌딩 3층으로 이전
  • 제2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제주에서 개최

1992

  • 제1차 한일 문학 심포지엄 일본 도쿄에서 개최
  • 문학과지성 산문선 간행 시작

1990

  • ‘문지 시인선’ 100권 기념시집 간행

1989

  • 김광섭 선생 유족의 기탁을 받아 ‘이산문학상(怡山文學賞)’을 제정하고 운영위원회 구성. 첫 수상자로 백무산(시), 유순하(소설)를 결정하고 9월 제 1회 이산문학상 시상식 개최
  • 사무실을 마포구 서교동 363-12로 이전

1988

  • 계간 『문학과사회』 창간호 발행
  • 편집동인: 권오룡, 성민엽, 임우기, 정과리, 진형준, 홍정선
  • 『문학과 사회』 창간 기념 및 대구매일 창간 42주년 기념 문학 강연회를 대구에서 개최
  • ‘김팔봉 문학 전집’ 기획, 첫 권 간행. 1989년 8월 6권으로 완간

1987

  • ‘최서해 전집(전 2권) 간행

1986

  • 한국사회사연구회와 제휴, ‘한국사회사연구 논문집’ 간행 시작, 제 1권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민족 문제』 간행. 1997년 제50권 『한국의 사회제도와 사회변동』 발간과 함께 반년간 『사회와 역사』로 개칭

1985

  • ‘우리 세대의 문학’ 동인 ‘문학의 밤’ 개최
  • 창사 10주년 기념행사. 기념도서 『숨은 손가락』 『앵무새의 혀』『해방 40년: 민족 지성의 회고와 전망』 간행

1984

  • ‘문제와시각’ 기획 발간 시작. 한상진 편 『계급 이론과 계층 이론』 제 1권으로 발행
  • 사무실을 마포구 신수동 445-5 출판단지로 이전

1982

  • 이인성, 이성복, 정과리 동인 편집으로 무크지 『우리 세대의 문학』 연간으로 간행. 제 5호에 『우리 시대의 문학』으로 개제
  • ‘현대의 문학 이론’ 총서 기획 간행 시작. 제 1권 윌리엄즈 저 이일환 역 『이념과 문학』간행

1981

  • ‘현대의 지성’ 총서 기획 간행 시작. 제 1권 버거 저 서광선 역 『이단의 시대』 간행

1980

  • 계간 『문학과지성』 창간 10주년 기념호 제작 중 돌연 ‘발행 목적 위반’이란 이유로 등록 취소. 이로써 계간 『문학과지성』은 지령 40호로 종간
  • 사무실을 마포구 아현동 618-21로 이전
  • ‘황순원 전집’ 기획, 『늪/기러기』 『나무들 비탈에 서다』 첫 간행. 1985년 3월, 12권으로 완간

1979

  • 『문학과지성』창간 9주년 기념 세미나를 ‘산업화 사회와 문화’를 주제로 춘천 성심여대에서 개최
  • 김학준, 『러시아 혁명사』 간행

1978

  • 사무실을 종로구 통의동 35-84로 이전
  • ‘문지 시인선’ 기획, 황동규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제 1권으로 간행 시작. ‘젊은 시인선’을 여기에 흡수
  • 정문길, 『소외론 연구』 간행

1977

  • ‘젊은 시인선’ 기획, 윤상규(윤후명), 신대철, 김명인, 장영수 시집 간행. 이듬해 ‘문지시인선’으로 개편 흡수
  • ‘작가론 총서’ 기획, 첫 책 김현 편 『이광수』 간행

1976

  • 첫 책으로 홍성원 단편집 『주말여행』, 조해일 장편소설 『겨울여자』 간행
  • ‘최인훈 전집’ 기획, 발간 시작. 첫 책 『광장/구운몽』 간행. 1979년 8월에 12권으로 완간
  • ‘오늘의 시론집’ 기획, 김춘수 저 『의미와 무의미』 첫 책 간행

1975

  • 도서출판 문학과지성사 창사. 사무실은 서울시 종로구 청진동 3-3

1970

  • 계간 『문학과지성』 창간
  • 편집동인 김병익, 김치수, 김현, 김주연(1971년 겨울 합류)